최종편집: 2025년07월16일 17:52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전북 농업소득 월 84만원, 농촌소멸 방지대책 없나

도의회 10~25일 정례회, 도지사와 교육감 상대로 현안질문
전주시-완주군 통합 논란, 새만금 신공항 안전대책 등 도마


기사 작성:  정성학 - 2025년 06월 09일 14시50분

IMG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419회 정례회



전북자치도의회가 10일부터 25일까지 보름간 올해 첫 정례회를 연다.

이번 정례회는 11일과 12일 이틀간 진행될 김관영 도지사를 상대로 한 도정 질문, 서거석 교육감을 상대로 한 교육학예행정 질문이 예정돼 다양한 지역사회 현안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현재 정해진 질문 예정자만도 10명에 이른다.

김대중(익산1, 경제산업건설위) 의원은 빠르면 연내 착공할 예정인 새만금 신공항 활주로를 둘러싼 안전대책을 문제삼을 태세다. 작년 말 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추락사고를 무색케 국내에서 가장 짧은 2,500m짜리 활주로로 계획돼 논란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박정희(군산3, 교육위) 의원은 실패한 군산형 일자리, 즉 전기자동차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후속대책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총 3,000억 원이 투자된 문제의 사업은 목표 대비 1%에 불과한 전기차 생산량, 31% 수준에 그친 일자리 수 등 혈세낭비 논란 끝에 지난해 2월 막 내렸다.

윤수봉(완주1, 교육위) 의원은 찬반 논란이 거센 전주시와 완주군간 행정통합 문제를 놓고 거듭 백지화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네번째 시도인 전주권 통합은 최근 6.3대선이 마무리된 만큼 이르면 올 하반기 주민투표가 치러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종복(전주3, 기획행정위) 의원은 새정부 출범과 함께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이른바 제2 혁신도시 조성사업, 즉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에 대비한 대응전략을 주문할 예정이다. 앞서 전북의 경우 농협중앙회, 한국마사회, 한국투자공사 등 50개 가량을 유치 대상으로 지목해왔다.

임승식(정읍1, 농업복지환경위) 의원은 소멸위기에 직면한 농업,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대책이 뭔지 따져물을 태세다. 농도란 명성을 무색케 도내 농민들이 주업인 농업으로 벌어들인 연간 농업소득은 2023년도 기준 평균 1,006만여원, 즉 월 84만 원에 불과해 공장 근로나 자영업 등을 겸업하는 사례가 확산하고 있다.

오은미(순창, 농업복지환경위) 의원 또한 농업 활성화, 특히 잇단 꿀벌 떼죽음 등의 여파로 위기에 처한 양봉산업 활성화 대책을 촉구할 분위기다. 꿀벌은 기후변화를 비롯해 밀원수 감소와 바이러스 확산 등이 맞물려 집단 폐사가 반복되는 실정이다.

김정기(부안, 문화안전소방위) 의원은 무려 11곳으로 확대된 교육발전특구를 놓고 그 실효성을 지적할 것으로 알려졌다. 온종일 통합돌봄, 고교와 대학간 연계교육, 맞춤형 산업인재 양성 등 그 취지는 좋지만 자칫 지역간 나눠먹기식으로 변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염영선(정읍2, 기획행정위) 의원은 최근 경찰에 수사가 의뢰된 전북교육청 과학교육원 입찰 비위 의혹을, 김이재(전주4, 경제산업건설위), 이명연(전주10, 문화안전소방위) 의원은 각각 전북자치도 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과 영농 부산물 처리실태를 둘러싼 민원 등을 도마에 올릴 태세다.

아울러 고위 공무원 비위 예방대책, 친일잔재 청산대책, 어린이 석면 안전대책, 학교주변 불법 주정차 단속대책, 학업중단 숙려제 도입 필요성 등 다양한 현안이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문승우 의장은 “지난 1년간 열정적인 의정활동을 통해 ‘일 잘하는 의회, 함께 만드는 전북’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해주신 동료 의원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도정 현안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 제시를 통해 도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이번 정례회 때는 약 50건 가까운 지방조례 제·개정안을 비롯해 전북자치도와 도교육청 2024회계연도 결산안 심의 등도 예정됐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