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5월16일 17:31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사설] 떠나는 전북 청년을 붙잡아라

서울 등으로 전출
대책 마련 절실해


기사 작성:  새전북신문 - 2024년 02월 04일 13시12분

지난해 전북지역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아 순유출은 –4000명으로 나타다. 이 가운데 20대가 가장 많이 고향을 떠났다. 이들 청년은 직업을 찾아 경기도와 서울, 충남 등으로 갔다. 전북에서 떠나는 일은 이제 일상이 됐다. 안타깝다. 지방소멸 위기가 눈앞에 닥친 상황에서 지역 청년층이 양질의 일자리와 인프라 등을 좇아 수도권 등으로 이탈하는 일이 잦아들면서 심각한 지역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전북 청년들이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주택시장 침체와 인구 고령화로 국내 인구 이동률이 51년 만의 최저치를 나타냈다. 국내 인구 이동자 수는 3년째 감소세다. 그나마 인천·충남·세종·경기·충북으로 이사 오는 사람이 많았는데, 광주광역시·울산에선 나가는 사람이 많았다. 통계청은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발표했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은 순유입 시도는 인천(1.1%)·충남(0.7%)·세종(0.4%)·경기(0.3%)·충북(0.2%) 5곳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모두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은 순유출 시도였는데, 특히나 광주광역시(-0.6%)와 울산(-0.6%)에서의 순유출이 많았다. 그 뒤를 경남(-0.5%)·부산(-0.3%)·서울(-0.3%)·경북(-0.3%)·전북(-0.3%)·제주(-0.3%) 등이 이었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순유입률이 높은 곳은 대구 중구(10.6%)와 경기 양주시(9.8%), 전북 완주군(6.3%) 순으로 나타났다. 주된 전입 사유는 주택(34%), 가족(24.1%), 직업(22.8%) 순을 기록했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주된 사유는 ‘직업’이다. 수도권에 일자리가 많이 몰려 있는 영향이다. 전입에서 전출 인구를 뺀 전북의 인구 순유출 규모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북은 만 5,301명이 전입하고 만 5,789명이 전출해 순유출이 488명으로 전년 동월 262명보다 9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 이동 현황을 봐도 전북은 전입보다 전출이 많아 747명의 순유출을 기록했는데 이 역시 전년 같은 시기보다 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수도권에 절대 다수의 기업이 위치하고 대기업 비중도 높아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데다 집값이나 물가 등 경제적인 여건이 지방이라고 해서 크게 낫지 않다는 점 등이 더해져 청년들의 이직이 빈번하게 이뤄진다. 양질의 일자리를 확충하는데 지자체와 도내 기업계가 협력하는 동시에 하청 및 영세중소기업 위주로 근로자 복지 지원을 우선 확대해 대규모 인력 유출을 막아야 한다. 향토기업이 지역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이들과 협력하고 채용 규모가 큰 뿌리산업 위주로 우선 지원을 적극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새전북신문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