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25일 19:44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사설] 지역마다 기록관 사료관 만들어야

‘익산시민역사기록관’ 조성
기록물 활용 대안 마련 시급


기사 작성:  새전북신문 - 2024년 12월 25일 15시16분

민간 기록물은 누군가가 발굴하지 않으면 사장되거나 훼손될 우려가 크다. 이러한 관점에서 민간이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역사 기록물과 생활 자료들이 사장되지 않도록 잘 수집·관리되어야 한다.

이에 전주시, 익산시, 김제시, 전북특별자치도 등 지방자치단체가 선제적으로 민간기록물을 수집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바, 대표적 방법론으로 시민참여형 기록물 수집공모전을 시행하고 있다. 익산시를 제외하면 수상자의 예우가 너무 형식적이며 소홀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익산 시민들의 일상이 담긴 기록을 한데 모아 추억을 공유하는 특별한 공간이 조성됐다. 평화동 옛 익옥수리조합 건물이 ‘익산시민역사기록관’으로 탈바꿈했다. 1930년대 지어진 옛 익옥수리조합 건물을 새 단장해 조성된 기록관 익산의 변천사와 시민 생활사 등 도시와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여실히 확인할 수 있는 주제들로 꾸며졌다. 1층은 상설전시실과 보이는 수장고, 기증자 예우를 위한 명예의 전당, 안내실 등이 들어서 기록관 조성 과정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층은 교육도시 익산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가 마련되고, 사무공간과 기록물 작업실, 교육과 체험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이 조성된다. 창고동은 내부에 설치된 사진 기계로 찍은 사진이 큰 화면으로 전송돼 몰입감 있는 체험을 즐길 수 있고, 경비동은 포토존과 기록우체국 등 시민과 함께 만들어 가는 기록문화공간으로 활용된다.

이 기록관은 조성 전부터 개관 후 운영까지 시민 참여가 돋보이는 시민주도형 공간이라는 점에서 특별함을 더한다. 앞서 시는 기록관 조성을 위해 2021년부터 민간 기록물 공모전을 통해 9,000여 점의 사료를 수집했다.

가장 먼저 기록물 공모전을 시작한 전주시는 기록관이 너무 좁다. 또 공모전을 갖는 김제시와 전북도도 이를 활용할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길 바란다. 정보화시대에 걸맞는 효율적인 기록관리를 위해선 공간·인력·예산이 함께 수반돼야 함으로 추진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기록관리는 행정의 투명성과 책임행정의 확보와 시민의 신분·재산의 권익보호 물론 행정경험의 축적과 지식정보의 활용은 물론 또 시민에게 On-LINE 서비스할 수 있는 체계로 지속 발전시켜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심혈을 기울여 추진해야 시점에 서 있다.

가치 있는 기록물에 대하여는 정기적인 전시회를 통해 각 지역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어주는‘역사의 교량’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나아가 건강한 기록 문화를 도민들과 함께 만들어 가야 한다. 기록물의 관리보존은 한 나라의 수준을 가늠하는 잣대도 된다. 말로만 국격을 높이자고 할 게 아니라 이런 데서부터 내실을 다져야 한다. 이제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기록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법률과 규정에서 요구되는 기록을 적법하게 생산·관리할 뿐 아니라 정보화 시대에 걸맞는 효율적인 기록관리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도.시.군에서는 용역비, 민간단체 보조비, 각종 행사비, 선심성. 낭비성 예산 등을 줄여 기록관 또는 자료관, 사료관을 마련하기 바란다.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새전북신문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