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15일 14:52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전북 소멸위기 탈출구는 '워라밸'

-인구 국가비상사태 전북포럼 주목
-MZ세대 월급보다 워라밸 더 중시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06월 24일 16시24분

IMG
-일-삶 균형 못잡는 전북미래 캄캄

전북이 소멸위기를 탈출하려면 전국 최악에 가까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실태부터 개선하는 게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이다.

갈수록 월급보다 워라밸을 더 중요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출산율 제고나 청년층 정착 등을 유도하려면 지역사회의 일과 삶 균형 수준을 반드시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기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고용본부 선임 연구위원은 최근 정부가 인구분야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한 것과 관련해 24일 전주시 덕진동 전북여성가족재단에서 열린 인구보건복지협회 주최 ‘2024년 인구이슈 지역순회 전북포럼’ 주제 발제문을 통해 이 같은 진단결과를 내놨다.

그는 우선, 한국경제인협회가 지난해 4월 내놓은 ‘기업 인식조사’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흔히 MZ세대로 불리는 2·30대 청년층 총 827명을 대상으로 한 당시 인식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선호하는 기준이 뭔지를 묻자 워라밸이 보장되는 기업(36.6%)을 1순위로 꼽았다.

월급이나 성과 보상체계가 잘 갖춰진 기업(29.6%)은 그 후순위였다. 뒤이어 정년 보장과 안정적으로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16.3%), 기업과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기업(10.4%) 등의 순이다.

이는 급여액이나 정년보장 등과 같은 전통적인 노동시장 조건보다는 개인의 삶을 더 중시하는 MZ세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도내 워라밸 수준은 밑바닥을 쳐 앞날이 캄캄했다.

실제로 고용노동부가 지난 1월 발표한 ‘2022년도 기준 전국 워라밸 지수’에 따르면 전북은 100점 만점에 54.8점에 그쳐 전체 17개 시·도 중 16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58.7점)에도 못미치는 수준으로 전년보다 네계단 더 미끄러졌다.

덩달아 타 지방과의 격차는 한층 더 크게 벌어졌다. 육아휴직조차 쉽지않은 근로환경, 태부족인 보육시설과 돌봄교실, 지자체들의 개선노력 부족 등 4대 평가영역 24개 지표 대부분 신통치 않았다.

그만큼 청년층이 전북에 터잡고 살아가기란 쉽지않다는 진단이다. 워라밸 개선 없이는 소멸위기 극복 또한 힘들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기도 하다.

전 연구위원은 이 같은 실태를 싸잡아 “기업인들은 가족 친화적인 직장문화 조성이나 근로자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일과 가정 양립제도 정비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지자체들 또한 그 우수기업 인센티브를 강화하거나 육아휴직 장려금을 지원하는 등 워라밸 문화 조성에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선 기관단체와 산업계 또한 우수사례 발표나 토론자로 나서 그 중요성을 설파했다.

이병우 고창 참바다영어조합법인 성장관리팀 부장은 자사의 워라밸 정책을 집중 소개한 채 “다양한 유연근무제 활성화와 사내결혼 장려, 가족친화 교육과 문화의날 운영 등을 추진하면서 업무 집중도가 향상되고 애사심까지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호평했다.

아울러 최은주 전북육아종합지원센터장은 영유아 보육과 돌봄지원 강화 필요성을, 김진산 인구보건복지협회 전북지회 인구사업과장은 지역사회 민간단체의 워라밸 확산 노력 필요성 등을 조언하기도 했다.

이삼식 인구보건복지협회장은 “현재 지역사회는 젊은층 유출을 비롯해 일과 가정간 균형 인프라 부족 등으로 인해 지방소멸을 우려할 정도로 인구 감소가 심각한 실정이다”며 “이번 인구이슈 지역순회 포럼이 보다 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만드는데 각계 각층의 지혜를 모으는 반전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바랐다.

한편, 국회입법조사처가 올해 초 펴낸 보고서(인구감소 적시 대응을 위한 출산율·이동률별 인구변화 2023-2123)에 따르면 전북지역 인구는 최악의 경우 향후 50년 안에 현재 4분의1 수준인 45만 명대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