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5월29일 10:36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김관영, “민생경제 살리기 주력하자”

도 지휘부와 산하기관장에 주문
1기업-1공무원제 전 시군 확대
농축산물 할인 홍보강화도 지시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04월 07일 15시06분

IMG
김관영 도지사가 도 지휘부에 농축산물 할인쿠폰 대도민 홍보를 강화하고 1기업-1공무원제를 전 시·군에 확산하는 등 민생경제 살리기에 주력할 것을 주문하고 나섰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지난 5일 주요 실국장과 출자·출연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간부회의에서 “1기업·1공무원 전담제가 전 시군에 확대돼 제대로 정착하려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며 “우수 시·군 인센티브 부여나 지속적인 컨설팅 등처럼 정책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친기업 정책을 강화해 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자는 얘기다.

아울러 김 지사는 최근 정부가 장바구니 물가 널뛰기 대책 중 하나로 긴급히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을 무제한, 무기한 풀기로 한 것과 관련해 “물가가 높아서 민생의 어려움이 늘어나고 있는데 좋은 정책은 잘 알려져야 한다”며 대도민 홍보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농축산물 할인쿠폰 등 정부의 할인정책을 통해 많은 도민이 혜택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홍보할 것”을 강조했다.

소비가 촉진돼야 그 생산비 폭등에 신음하는 농어업인은 물론, 전국 평균 7배에 달하는 실질임금 감소율에 직격탄 맞은 도내 가정경제에도 도움될 것이란 기대가 반영된 조치로 풀이된다.

실제로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0월 내놓은 전국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 노동력과 임금근로시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지역 명목상 임금 총액은 전년 동기대비 2%(7만원) 가량 오른 평균 359만여 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3.5%)에도 못미치는 증가율이다.

자연스레 전국 평균 임금(421만여원)과의 격차 또한 더 크게 벌어졌다. 전국 17개 시도를 줄세우면 제주(336만여원), 강원(355만여원), 대구(358만여원)와 함께 최하권을 형성했다.

게다가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임금은 이보다 더 적은 평균 324만여 원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동월대비 1.4%(4만6,000원) 줄어든 것이자, 전국 평균 감소율(0.2%)보다 7배 높은 수준이다. 그만큼 도내 근로자들에게 미치는 고물가 파동의 충격파는 한층 더 큰 셈이다.

김 지사는 이밖에 지방정책 개발에 있어서 “공무원들 스스로의 역량을 바탕으로 기획하는 것을 우선시하고 꼭 필요한 경우만 용역을 발주하고 그 기간도 최대한 단축하라”며 공직사회 역량 강화와 예산절감 대책 또한 주문했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