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4월03일 19:15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아~ 독립이여!"… 초야에 잠든 무명의병 845명

[■ 제99주년 삼일절] 도-광복회-고전문화연구원 이름없는 의병들 찾아내 대부분 일본군에 붙잡혀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민초 전북의병사 재조명하고 독립유공자 서훈도 추서키로

일제에 맞서 싸우다 차가운 감방에서 순국한 익산 출신 여학봉 의병에게 종신형을 선고한 판결문.
일제에 맞서 싸우다 차가운 감방에서 순국한 익산 출신 여학봉 의병에게 종신형을 선고한 판결문.




대한제국기 일제에 맞서 자주독립을 부르짓다 이름도 없이 산화한 전북 출신 무명의병 800여 명의 신원이 추가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2면>

대부분 장돌림이나 대장장이 등과 같은 민초였다는 게 공통점이다. 비목 하나 남기지 못한 채 초야에 잠들었다는 것도 그렇다.

이런 사실은 제99주년 삼일절을 맞아 전북도, 광복회 전북지부, 전주대 한국고전문화연구원이 손잡고 펴낸 ‘가장 치열했던 한말 전북의병사’를 통해 확인됐다.

새롭게 규명된 무명의병은 모두 845명에 달했다. 지금까지 잘 알려진 이런저런 국가기록물에 이름은 남겼지만 인적사항이나 활약상 등이 없어 서훈을 추서받지 못한 인물 447명, 종전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기록물에서 찾아낸 인물 398명이다.

이들은 대다수 일제에 맞서 무장투쟁을 벌이다 순국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생존자들 또한 살인, 강도, 내란 주동자 등으로 낙인찍혀 모진 고초를 겪어야만 했다.

꽃다운 나이에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전주출신 김법윤(1889~1908년), 김제출신 박영춘(생몰년 미상) 의병이 대표적이다.

1907년 충남 공주로 넘어간 김법윤은 동지들을 모아 일본군을 상대로 무장투쟁을 벌이다 이듬해 체포돼 교수형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의 나이 열아홉살, 생전 직업은 상업으로 파악됐다.

박영춘 또한 마찬가지다. 도내 일원에서 의병활동 중 일본군에 체포돼 교수형 당한 것으로 규명됐다. 항일투쟁 전 직업은 쇠붙이를 다루던 대장장이로 밝혀졌다.

종신형을 선고받고 차가운 감방에서 순국한 의병도 적지 않았다. 익산과 군산 일원에서 무장투쟁 중 체포된 여학봉(익산·생몰년 미상), 의병자금을 모으다 임실에서 붙잡힌 제지업자 최봉갑(순창·생몰년 미상) 등이다.

이밖에 10년 이상 중형을 선고받고 복역한 무명의병도 수 백명에 달했다. 하지만 여전히 구체적인 활약상은 찾지 못해 미완의 과제로 남겨졌다.

한국고전문화연구원 최우영 사무국장은 “그동안 부대장급들은 기록물 발굴작업이 활발했던 덕에 대부분 공과가 확인돼 독립유공자로 인정됐지만 평민이 주축인 일반 의병들에 대한 연구조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탓”이라며 “앞으로 그런 연구조사가 활성화 되면 이름없이 순국한 애국지사들이 보다 많이 발굴되고 그에 합당한 명예 회복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도측은 새로 확인된 무명의병은 모두 독립유공자로 추서하는 방안을 강구키로 했다.

도 관계자는 “후속 조사가 진행되면 많은 의병들의 활약상이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될 것이고 이경우 서훈 추서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번 책자는 대한제국기 전후 전북의병사를 집대성 했다.

동학농민혁명기(1894~95년), 대한제국기(1897~1910년), 일제강점기(1910~45년)로 이어진 큰 흐름 속에 농민이 의병으로, 의병이 독립운동가로 변해가는 모습을 재조명했다. 이 과정에서 목숨바쳐 일제와 싸운 의병계열 독립유공자 421명의 활약상도 소개됐다.

/정성학 기자 csh@sjb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