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5월12일 18:51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전북도, 청년층 출향행렬 붙잡기 사활

-지방소멸 급가속에 일자리와 주거 등 종합대책 추진
-탈전북 청년 42% 먹고살기 힘들어 타 지방서 취-창업


기사 작성:  정성학 - 2025년 03월 11일 14시55분

IMG
전북자치도가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청년층 출향행렬을 멈춰세울 특단의 대책을 만들겠다고 나서 주목된다.

이미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 하는 전북인이 350만 명을 넘어선데다 도내 곳곳에 방치된 빈집이 1만채에 이를 정도로 지방소멸 현상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자치도는 11일 천영평 기획조정실장 주재로 가칭 ‘청년 유출입 대응 전담팀(TF)’ 첫 회의를 열어 전북연구원,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전북청년허브센터, 전북문화관광재단, 전북지산학협력단 등 유관 기관과 그 대책에 머릴 맞댔다.

전담팀은 일자리, 교육, 주거, 문화, 복지, 참여·권리 등 모두 6개 분과로 구성됐다. 이들은 앞으로 도내 청년층 유출은 억제하고 타지방 청년층 유입은 촉진할 수 있는 종합대책을 세우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론 좋은 일자리 창출, 기업 맞춤형 인재양성, 내집 마련 지원, 문화·복지 향상, 청년 참여 활성화 방안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했다.

도는 이를위해 유관 기관들과 함께 청년층 탈전북 원인을 집중 분석하고 그 대응방안을 마련해 정책화 하겠다는 방침이다. 청년들 의견을 직접 경청할 수 있는 간담회와 포럼도 운영할 생각이다.

천 실장은 “청년층의 지속적인 유출은 전북의 미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심각한 문제”라며 “청년들이 전북에 정착하고, 더 나아가 외부 인재도 유입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앞선 1월 전북자치도의회 지방자치발전연구회가 내놓은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18~39세 사이 청년들이 고향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먹고사는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년간(2013~23년) 전북을 뜬 청년들이 새롭게 정착한 지자체에 제출한 전입 신고서를 조사한 결과, 그 이주 사유 1순위는 연평균 기준 41.6%를 차지한 ‘직업’이 꼽혔다.

즉 취업이나 이직, 또는 사업 등 먹고 살려고 타향살이를 선택했다는 얘기다. 그만큼 도내에선 청년들이 먹고살기 힘들어 한다는 의미다.

뒤이어 결혼이나 분가 등 ‘가족(26.5%)’ 문제로 타지방 이주를 결심했다는 청년들이 많았다. 임대차 계약 만료나 재개발 등 ‘주택(14.5%)’ 문제 때문에, 또는 자신의 학업이나 자녀의 진학 등 ‘교육(8.2%)’ 문제 때문에 이주했다는 사례 또한 적지않았다.

탈전북 청년들이 터잡은 정착지는 여전히 경기도와 서울시 등 수도권이 압도했다.

이 가운데 경기도 정착자는 지난 23년간(2001~23년) 연평균 약 2만2,600명대에 달해 1순위를 기록했다. 서울 또한 해마다 약 2만 명씩 탈전북 청년들이 정착한 것으로 조사됐다.

충청권이 새로운 이주지로 떠올랐다는 점도 눈길이다. 이중 충남 정착자는 연평균 6,600여명, 대전은 5,200여명 규모로 각각 3순위와 6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 같은 흐름은 제2 수도권으로 불리는 충청권에 청년층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현재 도내에 주소를 둔 청년층은 지난해 말 기준 총 38만5,523명에 그쳐 전체 인구대비 22.1%에 불과했다. 이는 10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12만4,000명 가량 적고 그 비중 또한 약 5%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