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4월13일 16:25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지리산 산악열차 포기하라"

시민단체, 환경영향평가 부동의 촉구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12월 30일 17시10분

전북, 전남, 경남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남원시가 십수년째 공들여온 지리산 산악열차 도입사업 백지화를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전북환경운동연합, 구례양수댐반대대책위,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등 50여개 단체는 30일 공동성명을 내고 “지리산 산악열차는 반생태적이고, 비경제적이며, 위법 소지가 크고, 사고 위험성도 높다”며 “전북지방환경청은 지난 26일 남원시가 재신청한 지리산 산악열차 시범사업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서에 부동의해야 한다”고 목소릴 높였다.

이들은 “산악열차는 시범사업만으로도 소나무와 밤나무 등 수백 그루 이상을 베어내고 궤도 부설을 위해 생태자연도 1등급 구역인 원천천 비탈까지 옹벽을 세우고 도로를 넓히려는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며 “산림 훼손이 전혀없는 친환경 사업은 거짓”이라고 힐난했다.

또한 “경제성 평가도 엉터리라 신뢰하기 어렵다”며 “남원시는 편익을 과대 산정하고 공사 비용은 축소해 경제성을 부풀렸다”고 주장했다.

게다가 “산사태가 매년 발생하는 해당 도로에서 운행될 열차는 낙석을 피하기 어려워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며 반발했다.

아울러 “현지 주민들도 돌아설 정도로 여론도 이미 부정적이다”며 “2023년 남원시 사회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남원시민은 지리산 산악열차 도입이 미칠 영향에 대해 생태계 훼손(39%)을 지역경제 활성화(26.1%)보다 우려하고 있으며, 탑승객 부족으로 인한 시설유지 곤란 및 사업 실패를 걱정하는 비율도 20.4%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북지방환경청은 관광 수익이란 허울뿐인 탐욕에 눈 멀어 지리산을 파괴하려는 각종 시도에 맞서야 한다. 지역 주민의 여론조차 무시하고 밀어붙이는 지리산 산악열차 시범사업의 폭주를 끝내야 한다”며 거듭 부동의를 촉구했다.

한편, 남원시는 당초 육모정~고기삼거리~고기댐~정령치에 이르는 총연장 13.2㎞ 가량에 산악열차를 도입하려다 반대론과 인허가 어려움 등에 밀려 1㎞에 한해 시범사업을 먼저 추진하는 쪽으로 급선회 했다.

이밖에도 지리산은 전남 산청군과 구례군의 케이블카 도입, 경남 함양군과 하동군의 벽소령 도로 개설 등 다양한 개발사업이 추진되면서 찬반 논란에 시끌시끌한 상태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