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16일 17:52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고교학점제’안착 위한 다각적 지원

진로·학업 지도 역량 강화...현장 밀착 지원
전북교육청, “현장 혼란 최소화 노력”


기사 작성:  복정권 - 2025년 04월 24일 14시09분

IMG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라 학생 맞춤형 진로·학업 설계 체계를 강화하고 교사 업무 부담 해소를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기준을 충족하면 학점을 취득해 졸업하는 제도다. 올해 전면 시행되면서 사교육 의존 증가, 출결 처리 복잡화, 공강 시간 운영 어려움 등의 우려가 제기돼왔다.

24일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사교육 컨설팅 증가 △출결 처리 업무 과중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부담 △공강 시간 운영의 어려움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사항 과다 등 5대 현안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학교 현장을 지원한다.

사교육 컨설팅 증가 문제에 대해서는 고1 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맞춤형 진로·학업 설계 상담을 운영하고, ‘진로학업 설계 전문가 그룹’을 중심으로 교사 역량을 높인다. 교육청은 학생용 진로·학업 설계서를 학교에 배포했으며 교사용 진로·학업 설계 지도서와 지도 영상 자료 등은 5월 중 추가 배포할 예정이다.

출결처리 업무 과중 문제는 나이스 출결 시스템을 개선해 대응 중이다. 교과교사와 담임교사가 출결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1·2차 기능 개선을 완료했다. 교시별 과목 정보 확인, 비고 입력 기능 강화 등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현장 의견을 반영한 3차 개선도 추진 중이다.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와 관련해서는 미이수 예정 학생에 대한 예방·보충 지도 체계를 강화한다.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EBS 콘텐츠 활용, 개별 과제 제시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안내하고 교사를 위한 연수와 자료 제공도 병행 중이다.

공강 시간 운영 지원을 위한 ‘학점제형 학교 공간 조성 사업’도 지원했다. 도내 113개교에 자율 학습 및 진로 설계 공간을 마련하고 자기주도학습과 진로 탐색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안내해 공강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의 변화에 따라 지난 3월 ‘2025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설명회를 통해 주요 내용을 전달하는 등 향후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지속적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전북교육청은 희망 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맞춤형 컨설팅’도 운영하는 등 고교학점제에 따른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고 제도 정착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최은이 중등교육과장은 “고교학점제는 학생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현장 혼란 최소화와 제도 정착을 위해 학생 맞춤형 컨설팅과 교원 역량 강화 등 다각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복정권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복정권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