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11일 11:06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뉴라이트 소동'에 동학혁명-항일금서 줄소환

-동학농민혁명=독립운동 법제화 토론회
-일제가 출판을 금지한 금서도 대거 공개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08월 13일 15시23분

IMG
정읍 황토현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 설치된 ‘불멸 바람길’상. 절개와 영원불멸을 상징하는 소나무 숲을 배경삼아 설치된 이 작품은 불의의 맞서 봉기한 전봉준 장군과 농민군을 표현했다./정성학 기자

■ 제79주년 광복절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특별전시회도

제79주년 광복절(15일)을 앞두고 이른바 ‘뉴라이트 성향 인사 등용’ 논란이 정국을 강타한 가운데 전북을 중심으로 뜻깊은 광복기념 행사가 꼬리물어 눈길이다.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일을 항일독립운동 시초로 법제화하는 방안을 공론화할 국회 토론회를 비롯해 일제가 출판을 금지시킨 금서를 공개하거나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리는 특별전시회 등이다.

윤준병(더불어민주당, 정읍·고창) 국회의원,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등은 1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항일독립운동 기점 변경에 관한 전문가 초청 토론회를 열어 각계 의견을 경청했다.

앞서 윤 의원은 항일독립운동 시점을 지금보다 1년 빠른 1894년, 즉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와 갑오의병 때까지 앞당겨야 한다는 내용의 ‘항일 독립운동 기점 정립법’을 대표 발의했다.

그는 “일제가 조선왕조의 왕궁인 경복궁을 기습 점령하고 고종을 감금한 사건(1894년)이야말로 국권침탈이 시작된 시점이고 이를 문제삼아 봉기한 2차 동학농민혁명과 갑오의병은 국권 수호운동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런면에서 “일제가 명성황후를 시해한 을미사변(1895년)에 반발해 일어난 을미의병(1895년) 참여자만 독립유공자로 서훈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국권침탈 시점을 1894년 6월로 바로잡고 동학농민군 또한 그에 알맞은 예우와 서훈이 필요하다”고 목소리 높였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과 전북특별자치도 등이 준비한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특별전시회도 하루 빠른 12일 같은 곳에서 개막했다.

사발통문과 무장포고문 등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지난해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돼 이목을 집중시켰다.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 등에 이은 국내 18번째 쾌거다.

오는 16일까지 열릴 이번 전시회는 ‘100년을 숨겨온 기록, 세계의 기억이 되다’를 주제로 세계유산 등재 과정과 그 가치를 집중 조명했다.

특히,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출판을 금지했다 광복 후 간행된 기록물도 대거 공개된다. 당시 일제가 세상에 알려지길 꺼려한 금서는 바로, 농민들이 시민혁명을 일으킨 배경과 그 과정 등이 상세히 서술된 고서다.

신순철 재단 이사장은 “동학농민혁명과 기록물은 인권과 평등을 지향하며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앞당긴 세계적 유산”이라며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전북여성단체연합 또한 13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14일)’을 맞아 전주 한옥마을 하얀양옥집(옛 전북도지사 관사)에서 특별 전시회를 개막했다.

여성, 평화, 정의, 반전을 주제로 한 이번 특별전은 도내 여성작가들이 회화, 사진, 조형물,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출품했다. 전시회는 오는 18일까지 열리고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앞선 12일 이 곳에선 그 추모행사도 치러졌다. 이강안 광복회 전북지부장, 김은경 전북겨레하나 이사장, 국주영은, 오은미, 서난이 전북자치도의원 등 주요 기관단체 관계자들은 피해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한 노력을 약속했다.

김정 전북자치도 여성가족과장은 “기억한다는 것은 함께 한다는 의미”라며 “이번 추모행사를 통해 피해자분들의 고통과 용기를 기억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고 이러한 아픈 역사가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모두가 함께 노력했으면 한다”고 바랐다.

이밖에 광복절 당일 도내 전역에서 그 경축식이 거행되는 등 다채로운 광복기념 행사가 펼쳐진다.

한편, 주요 독립유공단체와 야권은 일제히 신임 독립기념관장과 한국중앙연구원장 등 잇단 뉴라이트 성향 인사 등용을 문제삼아 중앙정부가 주최하는 올해 광복절 경축식은 참석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