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27일 16:38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열악한 버스 지원...노사 ‘한목소리’ 규탄

전북 5개 회사 노선 휴업계획 제출
신청 반려 두고 “전북특자도 무책임의 극치”


기사 작성:  김상훈 - 2024년 04월 23일 16시44분

전북도 버스 정책을 두고 노조가 규탄 목소리를 내며 노사가 사실상 한목소리를 내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한국노총전북지역본부(의장 권기봉)와 전북지역자동차노동조합(위원장 임형빈)은 23일 성명을 내고 “전북특별자치도와 도의회에 대중교통 정책이 있는 것인가 묻고 싶다”고 질타했다.

노조는 “전북도는 시외버스 사업자의 경영난으로 근로자가 고통을 당하는 것을 외면해왔다”며 “차량이 30% 이상 휴업하며 연간 360만명 이상 승객이 지역 간 이동에 심각한 불편을 겪고 있는데도 이러한 사태에 관심을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3월 전북특별자치도 버스운송사업조합은 경영난을 호소하며 휴업계획을 밝혔다. 사업조합에 따르면 전북 지역 시외버스는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2020년부터 116개 노선 운영을 중단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정 적자가 불어나자 76개 노선, 62대 차량을 추가로 중단하는 내용 휴업계획서를 도에 제출했다.

당시 사업조합은 “적자는 누적되는데 재정지원은 축소되며 심각한 경영 애로에 시달리고 있다”고 했다. 시외버스는 시내버스에 비해 운영비가 더 많이 드는데 시‧군이 지원하는 시내‧농어촌 버스보다 재정지원이 적다고 꼬집었다.

노조 또한 이번 성명에서 “전북도는 버스운송비용으로 지출한 금액에서 200억여원을 적게 지원했다”며 “적은 지원금으로 근로자들은 매년 임금을 나눠 받는 등 고통을 겪고 있다”고 했다.

이어 “사업자들이 사업 포기 계획을 노조에 통보해왔다”며 “일자리가 원천적으로 단절되는 것보다 휴업을 해서라도 사업을 유지하는 것이 근로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보고 휴업을 권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북도는 아무 대책도 없이 휴업 신청을 반려했다”며 “이것이야말로 무책임의 극치로, 시외버스 근로자들은 분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분노했다.

이들은 끝으로 “부당한 처사에 맞서 투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어떤 이유를 불문하고 임금 체불이 발생하면 지체 없이 파업을 단행, 버스 운행을 중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사태 해결에 적극적이지 않은 도의원들을 상대로 낙선운동을 언급, “전체 근로자들을 모두 동원해 당선될 수 없도록 적극적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상훈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상훈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