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18일 19:27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전북, 범죄보다 교통사고 위험성 높아

6대분야 지역 안전지수 평가결과
범죄는 1등급, 교통사고는 4등급
완주군은 전국 30대 '양호지역'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02월 20일 15시57분

IMG
전북 도민들은 다른 지방보다 범죄로부터는 안전하지만 교통사고로 죽거나 다칠 위험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진단됐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19일 내놓은 ‘2023년 지역 안전지수’에 따르면 전국 24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분야를 분석한 결과 전북지역은 이 같이 평가됐다.

안전지수는 상대평가로, 등급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타 지방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의미다. 각 분야별로 인구 1만명당 사망자 수를 비롯해 주요 관련 인프라 규모와 예산, 주요 법규 위법률 등을 비교 분석했다.

전북의 경우 세종과 함께 나란히 범죄 분야 안전지수에서 전체 5개 등급 중 최상위인 1등급으로 평가됐다.

인구 대비 살인과 강도 등 주요 범죄 발생 건수가 상대적으로 적은데다, 그 예방에 필요한 경찰관서나 폐쇄회로티비(CCTV) 등과 같은 인프라는 잘 갖춰졌다는 평이다. 여기에 대형 쇼핑몰이나 놀이시설 등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집객시설이 적은 도농복합도시란 지역적 특수성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됐다.

반대로 교통사고 분야는 4등급이 나왔다. 인구 대비 국지방도(고속도로 제외)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숨지는 사망자가 타 지방보다 많았고, 도로 면적당 교통안전환경 개선사업용 예산 또한 적다는 진단이다. 게다가 안전벨트 착용률과 음주운전 경험률 등 교통법규 준수 필요성도 강조됐다.

화재분야 또한 3등급으로 평가돼 좀 더 많은 관심과 투자 필요성이 지적됐다. 타 지방보다 인구 대비 화재(교통사고 화재 제외)로 인한 사망자가 많은데다, 화재에 취약한 노후 건축물이나 서비스 업체가 많다는 점 등이 반영됐다. 아울러 소방정책 예산 비율이 낮다는 것 또한 과제로 제기됐다.

감염병 분야 안전지수도 3등급을 받았다. 인구 대비 법정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비롯해 그 취약계층 인구 수와 의료급여 수급권자 수, 개인위생관리 실천율과 건강검진 수검률 등을 타 지방과 비교 분석한 결과다.

자살과 생활안전 분야는 각각 2등급으로 평가됐다. 다른 지방과 비교했을 때 인구 대비 자살 사망자 수나 생활안전과 관련된 구급건 수 등이 적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진단이다.

기초 시·군·구별론 완주군이 도내에선 유일하게 ‘전국 30대 안전지수 우수 및 양호지역’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전국적으론 경기도가 5개(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아 가장 안전하다고 평가됐다. 뒤이어 서울시가 3개(교통사고, 생활안전, 자살), 세종시가 2개(범죄, 감염병), 전북자치도 1개(범죄), 광주시 1개(화재)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지역의 안전수준을 과학적, 객관적으로 진단한 지역안전지수를 활용해 지역별로 취약부분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안전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히 협조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께서도 생활 속 안전실천 등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자세한 지역별 안전지수는 행정안전부(www.mois.go.kr), 국립재난안전연구원(www.ndmi.go.kr), 생활안전지도(www.safemap.go.kr) 누리집에 공개됐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