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11일 11:06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항일 독립운동 시점은 '제2차 동학농민혁명'

윤준병-동학 유족회 등, 역사 바로세우기 촉구
을미의병→ 제2차 동학 봉기까지 1년 앞당겨야
동학은 일제의 고종 감금에 맞선 국권 수호운동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08월 06일 18시16분

IMG
윤준병 국회의원과 동학농민혁명 유족회 등이 6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 윤준병 국회의원실





항일 독립운동 시점을 지금보다 1년 빠른 제2차 동학농민혁명(1894년)과 갑오의병(1894년) 때까지 앞당겨야 한다는 주장이 거듭 제기됐다.

윤준병(더불어민주당, 정읍·고창) 국회의원, 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제2차 동학농민혁명참여자 서훈 국민연대,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등은 6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는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을 방기한 채 일제 식민사관 역사학자들의 논리를 60년 넘게 답습하고 있다”며 “국가보훈부는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항일 독립운동의 왜곡된 기점을 제대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일제가 명성황후를 시해한 을미사변(1895년)에 반발해 일어난 을미의병(1895년) 참여자만 독립유공자로 서훈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한해 앞서 일제가 저지른 조선왕조의 왕궁인 경복궁 기습 점령과 고종 감금사건(1894년)이야말로 국권 침탈이 시작된 준 식민상태라 볼 수 있다”며 “그런면에서 이를 문제삼아 봉기한 2차 동학농민혁명과 갑오의병은 준 식민상태를 극복하려는 국권 수호운동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2차 동학농민혁명은 이미 2004년에 제정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명예회복 특별법에 ‘1894년 9월에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하여 2차로 봉기하여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농민 중심의 혁명’이라고 명확히 정의돼 있다”며 “제2차 동학농민혁명과 갑오의병 참여자도 독립유공자로 서훈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그러면서 “국가보훈부는 국권이 현저히 침탈받았던 1894년 일제의 경복궁 점령 사건을 항일 독립운동 기점으로 바로 잡을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왜곡된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를 견지하고 있는 일제 식민사관 역사학자와 이에 동조하는 역사학자의 서훈 공적심사위원회를 즉각 해촉하고, 서훈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독립운동사 전공자 등의 균형된 참여를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앞서 윤준병 의원은 지난달 29일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항일 독립운동 기점 정립법’을 대표 발의해 주목받기도 했다. 또한 오는 13일 그에 관한 국회 토론회도 예고했다.

윤 의원은 “현 세대와 미래 세대들이 항일 독립운동의 정신을 기억하고 선양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민통합과 국가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 진정한 보훈일 것”이라며 “국가보훈부와 국민의힘은 항일 독립운동의 진정한 가치와 의미가 되새겨질 수 있도록 그 기점과 역사 정립에 전향적인 태도 변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1대 국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도 독립유공자로 인정해 서훈을 추서하도록 한 동학농민혁명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반대론에 밀려 뜻을 이루지 못했다.

현재 도내에 거주중인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만도 약 900명에 이른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