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11일 11:06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제보자가 누구냐” 해외연수 취소위약금 납부보다 제보자 찾는 시의원

연수 관련자 모두 “A의원의 거짓말” 증언
해당 의원만 여전히 “억울하다”


기사 작성:  양정선 - 2024년 08월 01일 16시23분

“제보자가 누구냐.”

국외공무출장 취소위약금 미납 논란의 중심에선 전주시의회 A의원이 1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한 말이다.

A의원은 이날 기자에게 해외연수 취소위약금과 관련해 ‘억울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면서 사과와 위약금 납부에 대한 의사 표명보다는 “여행사에서 전화(제보)와서 그런 것이냐(취재를 한 것이냐), 누가 제보를 했냐”고 묻는 등 거꾸로 제보자 찾기에 더욱 관심을 보였다.

본지 취재 결과 A의원은 지난해 8월 미국 서부 연수를 신청했다가 출발 일주일 전 취소해 발생한 자부담위약금 170만3,000원을 1년 가까이 지불하지 않은 당사자다.

그는 이날 통화에서도 “자부담위약금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거듭 강조했다. “여행사와의 통화는 연수 출발 전 한 번 했던 것이 전부였고, 그 후에는 연락 한 번 안 왔다”는 말도 덧붙였다. 위약금과 관련해서는 “여행사와 출발 전 나눴던 통화에서 처리 된 줄 알았다”는 해명도 내놨다.

그런데 여행사 등 당시 연수와 관련된 이들은 모두 ‘거짓말’이라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행사 관계자는 “출발 전 취소위약금에 대해 안내하는 과정에서 ‘못 간다는데 무슨 돈을 내라고 하냐’고 되레 물어와 무슨 말을 더 할 수가 없었다”고 했다.

‘의원님’이란 지위 탓에 여행사는 차선책으로 의회와 소통하기 시작했다. 그때마다 “기다려달라”, “노력해보겠다”, “분납형태로 납부를 부탁했다”등의 답이 오긴 했지만 끝내 돈은 받지 못했다. 여행사 측은 “의회 쪽에서도 더 이상 방법이 없으니 돈을 받으려면 법적으로 처리해야 될 것 같다고 했었다”면서 “어떻게 그렇게 무책임한 말을 할 수가 있냐고 따졌던 기억까지 선명하다”고 말했다.

당시 연수에 참여했던 모 의원도 A의원의 해명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의원은 “A의원이 연수를 가지 않겠다고 했을 때 여행사, 의원들, 의회사무국 직원 전부 위약금 문제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연수에)다녀와서도 한 사람도 아니고 여럿이 얘기를 했었고, 위약금 문제에 대해 해결해 보려고 거꾸로 우리가 노력을 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시의회는 A의원과 여행사 측의 입장차가 뚜렷한 만큼 의견조율을 거쳐 상황을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의회 관계자는 “A의원과 여행사의 관계 부분이 잘 해결되는 것이 우선 과제”라며 해당 의원에 대한 의회 차원의 조치 여부에 대해서는 “운영위원회 등 논의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최주만 윤리특별위원장(부의장)은 “상임위원장단 회의를 거쳐 윤리심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심사하겠다”고 말했다. /양정선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양정선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