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22일 17:56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교육특구-바이오특구 잡아라"

-전국 산학연관 사활 건 유치전 시동
-지방 소멸위기 극복할 지렛대 기대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01월 31일 18시06분

IMG
-2월 응모 앞두고 사업안 점검 분주

2월중 전국적으로 반도체와 이차전지에 이어 교육과 바이오산업분야 특구 유치전도 불붙을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전북특별자치도와 교육청 등 도내 산·학·연·관은 지방 소멸위기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강력한 지렛대가 될 것으로 보고 그 유치전에 사활을 건 모습이다.

교육부는 오는 9일까지 전국 지자체와 교육청을 대상으로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을 추진할 후보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교육발전특구는 수도권 대 비수도권간 교육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지방 산·학·연·관이 손잡고 지역사회 맞춤형 사업안을 만들어 제안하면 30억~100억원 안팎을 지원하는 제도를 일컫는다.

또, 특구법상 이를 추진할 수 있는 자율권이 보장되고 규제완화 조치도 이뤄진다. 몇개 사업안을 선정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현재 도내에선 자동차나 이차전지와 같은 전략산업과 연계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취업도 보장하는 협약형 특성화고나 자율형 공립고, 또는 대학들과 연계한 석·박사급 연구인력 양성사업 등 다양한 사업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와 교육청은 물론 대학과 기업체 등도 여럿 뛰어들어 그 막바지 준비작업이 한창이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교육발전특구는 유치원 과정부터 대학까지 지방 공교육을 강화해 지역 학생들이 지역 학교를 다니고, 지역 기업에 취업하고, 지역에 터잡고 살아갈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자는 취지”라며 “곧 참여자들간 협약을 맺고 시범사업에 공동 응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산업통상부 주관 ‘바이오 첨단특화단지’ 유치전에도 뛰어들 태세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를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선정한 채 새만금(이차전지)을 포함해 전국 7곳을 그 특화단지로 지정한데 이어 최근 바이오산업을 하나 더 추가했다.

그 특화단지는 오는 29일까지 후보지 공모를 거쳐 지정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국가 차원의 다양한 연구개발사업을 비롯해 이를 뒷받침할 각종 세제 혜택과 기반시설 구축사업 등이 지원된다.

전북자치도측은 이또한 공모 일정에 맞춰 응모하겠다는 방침이다. 그 후보지론 농촌진흥청과 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첨단방사선연구소와 안전성평가연구소 등 관련 연구기관 20여 개가 집적화된 전주와 정읍 일대가 유력시된 분위기다.

그린바이오(농업·식품) 중심인 도내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레드바이오(의료·제약)와 오가노이드(유사장기)까지 확대하는데 공들이는 모습이다.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해 우범기 전주시장, 이학수 정읍시장, 유희철 전북대병원장 등 관계기관장들은 지난달 23일 그 전문기업인 넥스트앤바이오, 바이오메이신, 에이치엘비제약과 각각 투자협약, 또는 업무협약을 맺고 바이오산업 육성에 맞손잡아 주목받았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앞으로는 기존 산업 육성과 함께 첨단분야도 키워나갈 것”이라며 “이번 협약은 미래 먹거리인 레드바이오를 육성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