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봉동 생강’을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나섰다. 봉동은 예로부터 생강의 고장이며 이곳에서 생산된 생강은 임금님에게 올리는 진상품이었다고 한다. 봉동 생강은 저장 방법과 독특한 맛에서 다른 지역과 판이하게 다르다. 생강의 유래를 보면 전라감사로 내려온 이서구(李書九, 1754~ 1825)가 관내 순시를 위해 봉동(鳳東)읍까지 행차, 봉실산(鳳實山)의 산세와 지형을 두루 살핀 적이 있다. 그는 봉실산의 이름을 만덕산(萬德山)의 옛 기봉산리(基鳳山里) 들판을 보고, 이 근처에서 장차 향기로운 풀(香草)이 자라 사람에게 큰 복을 주는 풀이 될 것이라고 예언을 했다 한다. 그 뒤 과연 향내 나는 풀이 자라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바로 봉동의 생강이 됐다고 한다.
또, 1,300년전 신만석이 중국에 사신으로 건너가 봉성현(鳳城懸)이라는 곳에서 생강 뿌리를 얻어가지고 돌아와 지금의 전남 나주와 황해도의 봉산(鳳山)에 심었으나 재배에 실패했다. 이에 지명에 봉자가 있는 이곳 봉상(鳳翔)으로 내려와 심은 결과 재배에 성공, 오늘날 봉동 생강이 나오는 기초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조선 초기의 기록에 나타난 완주지방의 토산품으로 석류,강(薑), 울금, 봉밀(蜂蜜) 등 농산물과 지(紙),칠 등의 공산품 및 수산물로서 위어(葦漁)가 이었다(동국여지승람). 조선중기에 이르러서는 도(稻), 어(魚), 강(薑), 저(苧), 대나무(竹), 칭(秤)이 있었다(택리지). 조선후기에는 석류, 은행(銀杏), 호도(胡桃), 울금(鬱金), 구기(拘杞), 봉밀(蜂蜜), 생강(生薑), 배, 밤, 감 등의 농산물과 지물(紙物) 등의 공산품이 진상됐다(완산지). 봉동생강과 전주 배를 주 원료로 한 ‘이강주(梨薑酒)’가 임금께 진상하는 조선시대 3대 명주 중 하나로 유명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 아닐까.
봉동생강은 1597년 이순신장군도 드셨음이 ‘난중일기’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전주판관 '박근'이, 백의종군때 이순신장군에게 선물한 것이다. ‘오전에 삼례역(완주군 삼례읍 삼례리)의 역장과 역리의 집에 이르렀다. 저녁에 전주 남문밖 이의신(李義臣)의 집에서 잤다. 판관 박근(朴勤)이 와서 봤다. 부윤(府尹, 오늘날 전주시장)도 후하게 접대했다. 판관이 비올 때 쓰는 기름 먹인 두꺼운 종이와 생강 등을 보내왔다’
이는 정유년(1597년) 4월 22일(양력 6월 6일, 임오, 맑음)자 ‘난중일기’ 기록이다. 21일 여산 관아 노비의 집에서 하룻밤을 머문 이순신장군은 다음날 삼례역을 거쳐 전주로 이동한 것이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제도는 보전할 가치가 있는 농업유산을 국가가 지정해 관리하는 제도로 기본계획을 6월중 전북도에 제출하면 현장심사 및 발표심사를 거쳐 올 연말 최종 지정 여부가 확정된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통해 역사적 자원의 보전과 명성 회복을 기대한다.
/이종근(문화교육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