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목미술관 초대전, 정유리 'way out'
청목미술관은 23일부터 29일까지 정유리 개인전 'way out'을 갖는다.
청목 아티스트 레지던시 결과보고전으로 꾸려진 이 자리는 평면작업 17점과 설치작업 5점 등 모두 22점이 선보인다.
작가는 상대방과 원활하지 못한 소통으로 인해 생긴 내면의 트라우마를 주제로 작업하고 있다. 작품에 구멍(○)을 도입, 소통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해 답답하게 갇혀있는 벽이 아닌, 시원하게 뚫린 공간을 통해 소통하고자 함을 기호적 이미지로 표현한다. 직접적인 언어의 대화가 아닌 작품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고, 이를 통해 불안감을 해소하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
'way out'은 출구라는 의미로 탈출하고자 마음을 담았다. 작가의 마음에 불완전한 소통으로 인해 생긴 트라우마를 표출하는 매개체로서의 의미에 다름 아니다. 작가의 설치작업과 평면작업이 함께 선보일 예정이며, 설치작업의 주된 재료적 이미지로 선택한 것은 ‘가죽’이다. 가죽은 생명체에서 가장 표면에 위치하며, 세상과의 대화에서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겉 피부를 나타낸다. 작품에서는 더 깊게 내면의 피부로도 나아간다. 가죽의 구멍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고 대화하며 불완전한 소통으로 인해 받은 상처를 치유한다.
작가는 “나는 치유의 방식으로 작품을 선택했다. 작품은 직접적인 언어의 대화가 아닌 조형적 요소를 통해 작가의 감정을 나누고 공감하며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나와 유사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공감하며 위로받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고 했다.
작가는 원광대학교 조형예술디자인대학 미술과와 원광대 동 대학원 석사를 졸업, 현재 홍익대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2021 천녀작가 발굴시리즈 우화 ‘우민세대-의미와 무의미의 경계’, 2022 정유리 개인전, 오르막 미술 야시장, 함께 바라보다, 2023 청목 아티스트 레지던시 그룹전 전북의 불꽃3, 탄소예술기획전 탄소와 예술 등에서 활동했다.
청목아티스트레지던시는 청목미술관 건물 3층과 4층에 입주작가 공간을 마련, 지난해부터 운영하고 있다. 입주작가들이 예술적 교류, 협업, 장르간 융합을 시도하고 다양한 창작 결과를 발표할 수 있는 예술가들의 장으로 각광받고 있다./이종근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