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사 작성:  정성학
- 2023년 12월 27일 15시22분

"왜곡논란 '전라도 천년사' 배포 하지마"

시민사회단체들, 전북도 강행 움직임에 반발
도청 앞마당서 10여일째 철야농성, “폐기”촉구
도 “정책결정 과정 중… 할 말 없다”말 아껴


IMG
시민사회단체 대표자들이 27일 전북도청 앞마당에서 역사왜곡 논란이 불거진 ‘전라도 천년사’ 배포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정성학 기자





전북도가 역사왜곡 논란에 휘말린 ‘전라도 천년사’ 배포를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시민사회단체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역사바로세우기전북연대, 바른역사시민연대, 호남역사바로세우기 등 시민사회단체 대표자들은 27일 전북도청 앞마당에 모여 “전북도가 문제의 전라도 천년사 34권과 별책을 출간해 김제지역 한 물류창고에 보관해놓고 이달 29일까지 배포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민족과 전라도민의 자존심을 망가뜨린 식민사학으로 엮어진 전라도 천년사를 배포하는 것은 민족의 역사와 나라를 팔아먹는 행위와 다를게 없다”며 즉각 폐기처분 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배포를 강행한다면 김관영 도지사 탄핵운동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했다. 앞서 이들은 지난 16일부터 도청 앞마당에서 무기한 철야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김영일(전북민주동우회장) 역사바로세우기전북연대 상임대표는 “잘못된 역사를 걷어내는 일은 현재 뿐만아니라 미래세대를 향한 책임과 사명”이라며 “우리의 요구는 정당하고 단순하다. 쓰레기 식민사학은 폐기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북도측은 이를놓고 “현재 정책 결정 과정에 있다. 뭐라 할말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배포 일정은커녕 출판 여부조차 확인해줄 수 없다는 답이다.

한편, 전라도 천년사는 전라도 정명 천년(2018년) 맞이 기념사업 중 하나로 전북도, 광주시, 전남도가 공동 추진해왔다.

주관기관인 전북도는 지난해 11월 그 집필을 완료했지만 친일 식민사관 논란에 이어 동학농민혁명 왜곡 논란까지 확산되자, 특히 호남권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국회의원과 지방의원들까지 줄줄이 비판대열에 합류하자, 봉정식을 전면 백지화하고 출판 또한 무기한 연기한 채 공람기간 연장과 공개 토론회 개최 등 수습책 마련에 고심해왔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