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천년사 역사왜곡은 오해"
편찬위, 전남도의회 찾아 해명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 위원장단이 지난 22일 전남도의회를 찾아 역사왜곡 논란에 대한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글=정성학 기자·사진=편찬위 제공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가 역사왜곡 논란은 오해라며 거듭 해명하고 나섰다.
이재운(전주대 명예교수) 위원장, 홍영기(순천대 명예교수), 김덕진(광주교대 교수) 부위원장, 조법종(우석대 교수) 고대사 간사 등 편찬위 위원장단은 지난 22일 전남도의회를 찾아 서동욱 의장을 비롯해 상임위원장단과 간담회를 갖고 “전라남도의회에서 전라도 천년사에 대해 일부 시민단체의 일방적 주장만을 받아들여 발표한 성명서에 유감을 표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학술적 접근없이 3개 지자체의 위임을 받아 전라도 천년사를 편찬한 수백여명 연구자들의 성과를 ‘식민사학’으로 매도한 것에 깊은 우려를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전남도의회는 이에대해 ‘충분한 의견수렴을 위해 공람기간 2개월 연장은 잘한 결정’이라 했고 ‘앞으로 건전한 토론회 등의 계획도 검토해 줄 것’을 당부했다”고도 전했다.
편찬위는 “양쪽 참석자들은 서로간에 폭넓은 논의를 통해 전라도 천년사 관련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함에 모두 공감했고 향후 양측은 올바른 지역사 이해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라도 정명 천년(2018년)을 맞아 전북도, 광주시, 전남도가 공동 추진해온 전라도 천년사 편찬사업은 지난해 11월 집필 완료 후 역사왜곡 논란이 불거진데 이어 최근 2주간 그 공람이 진행되면서 급속히 확산돼 파문에 휩싸였다.
논란의 핵심은 일제식민사관에 기초한 역사왜곡 문제로 압축됐다. ‘일본서기’의 임나일본부설을 여기 저기서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호남 일대가 수백년간 야마토 정권의 지배를 받아온 것처럼 기술한 점 등이 대표적이다.
동학농민혁명 또한 도마에 올랐다. 정읍지역 동학단체들은 동학농민혁명에 불지핀 첫 농민봉기가 1894년 1월 고부(현 정읍)가 아닌 같은해 3월 무장(현 고창)을 비롯해 충청도 청산과 경상도 진주 등에서 일어난 것처럼 서술한 점을 문제삼아 그 폐기를 촉구했다.
덩달아 전라도 천년사 봉정식은 전격 백지화 됐고 그 간행 또한 무기한 연기됐다. 공람기간 또한 올 7월 9일까지 2개월 연장된 상태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