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에 이르는 녹내장, 가장 좋은 예방방법은?
녹내장은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 인구의 약 3~4%가 가지고 있는 질환으로, 안압이 상승하거나 그 밖에 여러 요인에 의해 시신경이 손상되어 지속적으로 시야가 좁아지다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이다.
국내의 환자 통계를 보면 정상 범위 안압의 녹내장 환자가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으로 인해 시신경으로 가는 혈류에 이상이 발생해 생기는 손상이 원인으로 추정이 된다. 이런 녹내장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는데 더 심각한 것은 만성 녹내장이다.
급성 녹내장의 경우 출혈과 통증, 급격한 시력감소 등 증상이 나타나 빠른 치료와 대처가 가능하다. 하지만 만성 녹내장의 경우 본인도 모르는 사이 서서히 시력을 상실하다 말기에 이르러서야 증상을 알아차리기 때문에 더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녹내장 환자 10명중 9명 정도가 만성 녹내장에 해당하며 본인도 모르는 사이 시력을 잃기 때문에 ‘소리 없는 시력도둑’이라고 많은 매체에서 표현을 한다.
녹내장은 완치라는 개념이 없다. 한 번 손상된 시신경은 다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치료를 통하여 시신경이 더 이상 손상되지 않도록 보전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 때문에 최선의 예방방법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녹내장을 발견하고 빠르게 치료를 시작, 진행을 미리 막으며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당뇨나 고혈압 같은 만성 질환처럼 정기적으로 상태를 살피고 평생 관리를 해야 한다. 녹내장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령의 나이, 가족력, 고혈압, 당뇨, 고도근시 등이 녹내장의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발병률이 높아지는 40대 이후,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다면 1년에 한번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가장 좋다.
글: 아이준안과 양종윤 원장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