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사 작성:  정성학
- 2022년 07월 25일 17시26분

"지방교육 위기는 지방소멸 위기"



IMG
김관영 도지사, 서거석 교육감, 전북지역대학총장협의회 박맹수 협의회장과 10개 소속 대학 총장들이 25일 도청에 모여 위기에 몰린 학교와 지역사회를 살려내는데 공조하자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고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정성학 기자 csh@sjbnews.com

/사진= 전북도 제공



전북도-교육청-대학가 상생협약

가칭 교육협력추진단 공동 구성

학교와 지역사회 살려내기 총력





전북도와 교육청, 도내 대학들이 고사위기에 직면한 지방교육 살리기에 공조하자며 맞손 잡았다. 지방교육 위기는 지방소멸 위기와 같다는 얘기다.

김관영 도지사, 서거석 교육감, 전북지역대학총장협의회 박맹수 협의회장(원광대 총장)과 10개 소속 대학 총장들은 25일 도청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고 가칭 ‘전북교육협력추진단’을 구성해 공동 대응하자는데 뜻을 모았다.

전북지역전문대학총장협의회 백준흠 협의회장(원광보건대 총장)과 7개 소속 대학 총장들 또한 26일 똑같은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고 동참할 예정이다.

이들은 전북교육협력추진단을 중심으로 유·초·중·고교와 대학 모두 지역사회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지역 인재가 지역 대학에 진학하고, 그 졸업자가 지역 기업에 취업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특화된 정책을 만들어 펼치겠다는 생각이다.

저출산, 출향행렬 여파로 학교는 폐교 위기에 몰리고 기업은 구인난에 시달리는 등 지역사회 소멸로 치닫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만 한다는 얘기다.

이 같은 문제는 이미 일선 교육계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실제로 사단법인 좋은교사운동이 지난달 출산율, 기대수명, 국내외 이동현황 등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현재 약 9만1,000명인 전북지역 초등학령(6~11세) 인구는 2034년 4만5,000명으로 무려 45%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경우 교육시설 감축은 물론 도내 초등 교사 전체 6,555명 중 23%, 즉 1,477명이 감원위기에 처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곧 신규채용 억제 방식의 정원 축소로 이어질 전망이다.

그 후폭풍은 중·고교와 대학까지 연쇄 파동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은 더 큰 문제다.

지방 대학가 또한 사실상 생사기로에 놓였다.

전국대학노동조합과 대학교육연구소가 지난 2월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1~21년) 전북지역 대학 입학생은 약 25%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재적생 또한 16% 가량 줄었다. 이로인해 전체 입학생은 2만명 선에, 재적생은 10만명 선에 가까스로 턱걸이 한 실정이다.

덩달아 대학들은 경영난 속 구조조정 늪에 빠져들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남원 서남대와 군산 서해대 등의 잇단 폐교를 무색하게 미달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날 교육계 수장들이 모두 도청에 모인 배경이기도 하다.

김 지사는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인재의 수도권 유출로 인한 지방대학 위기가 지역소멸 위기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전라북도, 교육청, 대학이 원팀이 돼 초·중·고 진로교육을 진행하고 대학별로 특화된 인재를 배출한다면 학교가 살고 전북이 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북경제 살리기의 해답도 바로, 인재 양성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전라북도, 교육청, 지역대학과 함께 전북을 책임질 인재를 양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성학 기자 csh@sjbnews.com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