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는 금지한 `SRF 화력발전', 농촌에 설립 안될말”
정읍에 목질계 고형연료 열병합 화력발전소 설립 논란
원주민들 건강 위협에 농사도 못지겠다며 백지화 촉구
정읍 주민과 임승식 도의원 등이 20일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읍지역 한 산업단지에 들어설 대규모 고형연료(SRF) 화력발전소 설립계획을 문제삼아 그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정성학 기자
“수도권과 대도시는 금지한 고형연료(SRF) 화력발전소를 농촌에다 설립한다는 게 말이 되냐?”
정읍지역 한 산업단지에 들어설 대규모 SRF 열병합 화력발전소 설립계획을 놓고 원주민들이 건강권 침해는 물론 친환경 농사도 못짓게 생겼다며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폐목질계화력발전소정읍시반대대책위원회 우용태 위원장과 주민들은 20일 임승식(정읍1) 전북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장,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등과 도의회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 “문제의 SRF 화력발전소는 말이 좋아 ‘바이오’, 또는 ‘신재생’이란 이름으로 포장됐지만 그 실체는 폐목재나 산업폐기물 등으로 만든 고형연료를 태우는 대규모 쓰레기 소각시설에 불과하다”며 즉각 사업안 백지화를 강력 촉구했다.
이들은 “유해 화학물질로 범벅이 된 폐목질계 쓰레기를 태우면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다이옥신, 중금속 등이 대기중에 다량으로 방출돼 호흡기 질환을 비롯해 각종 암과 환경성 질환을 높이는 등 시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밖에 없는데다, 특히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 노약자, 기저질환자들이 더 큰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성토했다.
더욱이 “현재 전주시, 완주군, 김제시, 임실군 등 84만 명의 생활 쓰레기를 소각하는 전주권 광역쓰레기 소각장의 하루 소각량이 300여톤 규모인데 반해, 문제의 정읍 화력발전소의 소각 예정량은 하루 552톤에 달하는 실정인데다, 소각시설의 대기오염물질 확산 범위가 반경 4~6㎞에 이르고, 바람의 세기나 방향 등에 따라선 더 멀리 퍼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읍 시내권 전체가 그 영향권에 들 것으로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북자치도와 정읍시는 즉각, 사업계획이 백지화 되도록 조치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에 발전사업 허가를 신청할 때만 해도 순수 목질계인 ‘우드 펠릿’을 연료로 사용한다고 해놓고, 슬그머니 폐목재 바이오 SRF로 연료를 변경하는 등 주민동의 조작이나 절차적 위법 의혹도 제기되는 만큼 즉시 진상조사에 착수하라”고 요구했다.
주민들은 “깨끗한 공기, 안전한 먹거리, 인간다운 삶을 요구할 권리를 지키고자 반대투쟁에 나선 것”이라며 “농촌으로 몰려드는 폐기물 처리시설과 잘못된 자원순환 정책에 맞서 싸우겠다”고 목소릴 높였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5-05-21 2면
http://sjbnews.com/850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