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사 작성:  정성학
- 2025년 04월 27일 15시07분

환경단체, "李 새만금 해수유통 확대 환영"

개발과 생태복원 조화로운 새판짜기 기회로 삼아야
새로운 사업계획 논의할 민관협력기구 구성 제안도


IMG
이재명 6.3대선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의 새만금 해수유통 확대 공약을 놓고 도내 환경단체들이 일제히 환영하고 나섰다.

새만금도민회의(공동대표 조준호, 조규춘, 오창환, 고영조, 김종주)는 지난 25일 논평을 내고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새만금 해수유통을 확대해 생태계를 복원하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조력발전소 건설도 검토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전폭적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또한 “조력발전소 건설을 통한 해수유통 확대 정책은 앞으로 많은 도민의 지지가 이어질 것”이라며 “기존의 새만금 사업 계획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그 이익을 훨씬 더 증가시킬 뿐 아니라, 외면받던 어민들의 고통을 보듬어주고 희망을 주며, 희망고문에 시달리던 새만금 주변지역 주민을 포함한 전북도민에게 진정한 희망을 줄 것이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이들은 “조력발전을 활용한 해수유통 확대는 일석육조의 효과를 전북에 가져다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론 “이런 방식은 이미 시화호에서 증명된 것으로 새만금호 하부 수층 수질 개선에 매우 효과적인데다, 조력발전소는 많은 수량을 외해로 배출할 수 있어 홍수로부터 매립지의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키며, 재생에너지를 새만금 산단에 공급할 수 있어 기업 유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조력발전을 통한 해수유통 확대는 새만금 내 생태계와 산란장을 복원하고, 외부 해역의 유속을 증가시켜 퇴적량을 줄임으로써 최소 7,000억원 정도의 수산업 피해를 복원시킬 것이며, 수질이 2급수까지 개선된다면 순천만처럼 관광이 크게 성공하고, 갯벌이 많은 탄소를 흡수함으로써 탄소중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조력발전을 활용한 해수유통은 새만금 사업이 성공하는데 필수 조건”이라며 “이재명 경선 후보자의 현명하고 결단력 있는 정책 발표를 환영하며 이에 대한 전북도민과 행정의 적극적 지지가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바랐다.

전북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유남희, 정현숙, 이정현, 반징수)도 같은 날 환영 논평을 내고 “조력발전 기반 해수유통 확대를 통해 갯벌 생태계를 복원하고 탄소중립 거점 전환으로 지속가능한 새만금 새판짜기가 시작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단체는 “새만금 조력발전은 단순한 에너지 생산을 넘어 새만금 지역의 생태, 산업, 경제, 사회 전반을 전환하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며 “토목건설 중심의 매립속도전, 낡은 개발 경로에서 벗어나 대규모 재생에너지에 기반한 RE100(재생에너지 100%) 실현과 탄소중립 거점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도 담겼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단, “조력발전 방법은 최선은 아닌데다 새만금 사업을 보는 시선과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그에 대한 입장이 나뉠 수 있는만큼 치열한 공론화가 필요하다”며 “전북의 구성원들이 ‘개발이냐 보전이냐’란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 조력발전과 해수유통 물관리를 중심으로 새만금의 바람직한 개발 비전과 과제, 연안과 갯벌 생태복원 로드맵을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새만금 사업계획을 논의할 민·관협력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단체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맞춰 지역의 의견이 모아져야 중앙정부의 협력과 지원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새만금을 중앙 고위관료와 공공기관에만 맡길 게 아니라 어민, 시민사회, 정치권, 전북자치도가 모여서 민주적 의사결정 체계를 갖춘 민·관협력기구를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와 전북자치도는 새만금호 담수화를 통해 생활용수(1~2급수)를 제외한 공업용수(3급수)와 농업용수(4급수)는 자체 공급하겠다는 목표아래 지난 20년간(2001~20년) 총 4조5,534억 원대에 달하는 수질 개선사업을 공동 추진해왔다.

하지만 2010년 방조제가 준공된 뒤 수질이 급속히 악화되면서 목표 달성에 실패하자 담수화를 전격 포기했다. 다만, 수변도시나 관광단지 등 내부 개발을 추진하려면 악취나 부유물이 적은 3~4급수 수준은 유지돼야 한다며 부분 해수유통과 함께 총 1조6,875억원 규모의 3단계(2021~30년) 수질개선사업을 추가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전면적인 해수유통만이 수질 개선에 효과적일 것이라며 보다 전향적인 검토를 촉구하고 있다. 특히 올 6월 새 정부 출범, 12월 새만금 개발계획 재수립을 앞두고 그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5-04-28     2면

http://sjbnews.com/848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