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사 작성:  복정권
- 2024년 08월 22일 13시33분

[독자칼럼] UFO청문회에 품질관리 기법이 적용된다면

배석동 기아차 책임엔지니어


IMG
지난 2022년 5월, 미국 하원 군사위원회는 미확인 물체 UFO(UAP)에 관한 청문회를 개최한바 있다. 이 청문회는 주요 군 관계자와 정보기관 대표들이 출석하여 UFO와 관련된 군사적, 기술적 정보를 공유하고, 현상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 뉴멕시코주 로즈웰에서 발생한 UFO 추락 사건(1947년 7월)은 여전히 많은 논란과 호기심을 자아내는 역사적 사건이다. 이 사건의 원인과 그에 따른 후속 조치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었지만, 그 논란의 중심에서 필자는 불현듯 “품질관리의 관점에서 접목하여 해석해 보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다. 미국 청문회를 기점 논쟁이 좁혀지지 않는 이유와 또 다른 시각에서의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어떻게 이 사건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는 것은 급변하게 변해가는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혹은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지는 않은지, 되돌아 보는 흥미로운 접근 방식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로즈웰 사건의 핵심은 1947년 7월 2일에 발생한 UFO 추락이다. 당시 미군은 사건의 초기 보고서를 ‘비행 접시’로 기술했으나, 곧이어 ‘기상 관측 기구’로 방향을 선회하며 사건을 설명하기도 했다. 이후 수십년 간의 논란과 음모론이 뒤따랐고, 현재까지도 UFO와 외계 생명체에 대한 많은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게 사실이며, 논쟁의 중심에는 문제점과 원인 분석의 객관적 해석 데이터가 부족의 문제로 해석되는데 아래와 같이 분류 해석해 봤다.



첫째, 정보의 신뢰성과 일관성 부족을 말할 수 있다. 품질관리에서는 신뢰성과 일관성은 데이터를 기초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로즈웰 사건에 대한 초기 정보는 일관성이 없었고, 신뢰성 있는 조사가 부족했다. 사건의 초기 보고서는 UFO가 추락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이후 미군의 발표는 기상 관측 기구로 변경되었고. 정보의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뤄졌다면, 사건의 진실과 그에 대한 설명이 명확히 유지되었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조사 및 대응 절차의 미비 문제이다. 사건 발생 후, 미군과 정부의 조사 및 대응 절차가 체계적이지 않았던 점도 품질관리 부족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만약 산업현장에서 품질문제가 발생한다면, 그 품질문제의 현상의 진상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절차와 품질관리가 필수적이지만, 당시에는 이를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세 번째로는 대중들과의 소통 부족의 문제이다. 사건의 진위여부와 관련된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고 홍보될 필요가 있었다. 일관성 있는 정보 전달로 대중들의 관심과 신뢰를 바탕으로 품질관리는 모든 관련 당사자 간의 효과적인 소통능력을 요구한다. 로즈웰 사건에서는 정보가 빠르게 퍼지지 않았고, 이에 따라 많은 오해와 음모론이 생겨 불신만 커지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물론, 미국의 대외비 적인 상황에 예를 들어 품질관리에 빗대어 해석한 결과이다. 실제는 그러하지 않았을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미국 하원 군사위원회는 미확인 물체 UFO에 관한 청문회를 포함하여 미확인물체에 관한 언론기사가 심심치 않게 보도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앞서 말했던 품질관리의 중요한 요소를 빗대어 정보의 정확성과 일관성, 효과적인 조사 및 대응 절차, 투명한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잘못된 정보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오류가 없는지 검토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한 후속 관리가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공공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실제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의 관점에서 품질관리는 단지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정부와 군사 기관, 심지어 사건의 대응 방식에도 품질관리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오히려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데 중요한 요소로 될수 있다. 로즈웰 UFO 추락 사건은 대중의 신뢰를 훼손하고,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사례로도 보여진다.



UFO는 현실 세계에 여러 이슈로 부각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만약, 우리가 급변하는 인류에 어떠한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만들어 그것을 해결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품질개선 10단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대중에게 알려진 품질관리는 그다지 친숙하지 않다. 왜냐하면, 단지 제조업의 품질관리는 기업에만 사용할 만한 도구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인류가 진화를 거듭하면서 일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당면하게 되거나 또 이를 해결 해야할 경우, 혹은 어떠한 재미있는 현상(UFO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어떤 부분의 문제점에 대한 조사방식으로 품질개선기법을 적용하면 오히려 대중들에게 더욱더 친숙하게 다가설 수 있는 기법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8-26     9면

http://sjbnews.com/825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