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사 작성:  청소년 기자단
- 2024년 08월 21일 14시33분

[달그락달그락] 한글 지킨 이병기 선생, 광복에 힘을 더하다

다꿈 청소년, 가람문학관을 다녀오다


IMG
가람문학관 활동 단체사진





가람 이병기 선생 사진,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가람 이병기 선생 동상, 생가





생가비



익산에 사는 청소년이라면 익히 들어본 이리고등학교, 이리공업고등학교 등의 교가를 가람 이병기 선생이 작사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그리고 대한민국 입시생이라면 모를 수 없는 서울대학교의 교가 또한 이병기 선생이 작사했다. 지난 8월 15일 익산청소년자치공간 다꿈에서는 광복절 79주년을 맞이하여 국가보훈부 보훈테마활동 중 하나로 ‘다꿈 독립운동사展- 익산 독립운동사 투어’를 진행했다. 독립운동사 투어의 경유 장소 중 하나인 가람문학관(전북 익산시 여산면 가람1길 76)을 청소년들과 함께 다녀오며, 일제강점기 때에 독립과 해방을 위해 활약했던 우리 지역 독립운동가들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가람 이병기 선생의 업적을 연도 순으로 정리하자면, 1891년에 전라도 여산도호부 천서면(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에서 출생했다. 그 후, 1910년에 전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에 그 해 4월 즈음 관립한성사범학교에 입학했다. 조선어상습원에 재학했으며, 1912년에 주시경 선생의 강의를 수료했다. 1921년 조선어연구회 총회에서 간사로 임명됐으며, 선생은 권덕규, 임경제와 함께 조선어연구회 발기회를 열어 본격적으로 한글 교육 운동 및 사전 편찬을 진행했다. 일본의 감시와 압박에 굴하지 않고, 조선어연구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으며, 선생은 우리말 연구뿐만 아니라 우리말과 우리글이 민족의식을 고양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여러 강연 활동을 펼쳤다.



그 후 이병기 선생은 1924년에 현대 시조를 발표했으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난초」, 「박연 폭포」 등이 있다. 또한, 1926년 이병기 선생이 속한 조선어연구회에서 지금의 한글날인 ‘가갸날’을 만들었다. 1930년 조선어연구회 철자법 제정위원회에 위촉됐으며, 1939년 중순이 지난달에 「가람 시조집」을 발간했다. 1942년에 일어난 조선어학회 사건은 한글운동 및 사전 편찬을 추진하고 있었던 조선어학회 회원과 협력 인사들을 옭아매기 위해 만들어낸 사건으로, 당시 검거된 33인 중 이병기 선생이 포함돼 있었다. 이 사건으로 *피검돼 1년간 옥고를 치른 이병기 선생은 1년 뒤인 1943년 함흥형무소에서 기소유예로 출감했다. 그리고, 1968년 11월 29일부로 이병기 선생의 생가인 수우재에서 별세했다.



가람문학관 방문해 보니 ‘가람 이병기는 한글을 지킨 독립 유공자이다.’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다. 당시 일제강점기의 경찰 감옥 업무를 맡아보던 경부가 가람 이병기 선생에게 독립운동에 참여하지 말 것을 경고했지만, “독립은 시대가 시키는 것이라”라는 구절을 통해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환경 속에서도 조선어에 대한 열정을 굽히지 않은 이병기 선생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의 기록이면서도 우리 근현대사의 기록으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가람 이병기 선생의 일기인 「가람일기」의 내용을 읽으면 민족 고난의 시기인 일제강점기에 우리말과 문학을 지키고자 했던 선생의 숭고한 업적을 느껴 볼 수 있을 것이다. /진예원, 김진우 청소년 기자



취재 후기

진예원: 가람 이병기 선생의 생가와 묘를 직접 볼 수 있어 신기했으며, 선생의 일화 중 ‘선술집을 즐겼던 호방한 애주가’ 이야기가 기억에 남았다. 선생은 평생 담배를 피우지 않았으나 술은 말년까지도 즐기며 해학으로 좌중을 이끈 애주가였다는 이야기가 반전으로 다가왔다. 독립운동사 투어를 하기 전에는 문학인 이병기 선생의 모습만을 알고 있었지만, 독립 유공자로서의 이병기 선생을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김진우: 가람 이병기 선생의 활약을 펼쳐보았을 때, 일제의 근본 없는 옥고를 시킴에도 불구하고 조선어를 지키기 위해 현대 시조를 제작하고 「가람 시조집」을 발간하는 등의 수고로움에 뜻깊은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피검:수사기관에 잡혀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8-22     16면

http://sjbnews.com/825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