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영선, 동학혁명지 350㎞ 순례 대장정
"혁명 정신으로 혼란한 현 시국 극복해야"
염영선 도의원이 동학농민혁명지 순례길 중 하나인 순창군 쌍치면 녹두장군 전봉준관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염영선(정읍2) 전북자치도의원이 도내 곳곳의 동학농민혁명지를 찾아보는 자전거 순례 대장정을 펼쳐 눈길이다.
제79주년 광복절을 맞아 13일 국회에서 이른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독립유공자 인정법’ 제정에 관한 토론회가 예정된 가운데 펼쳐져 더더욱 그렇다.
지난 5일 정읍 만석보에서 출발한 염 의원은 부안, 고창, 남원, 장수, 순창, 임실, 김제, 완주 등을 거쳐 8일 최종 목적지인 전주 전라감영 선화당에 도착했다.
밤낮없는 폭염 속에 나흘간 달린 순례길은 장장 350㎞에 달했다. 그는 자전거에 농민군을 이끈 전봉준을 기리는 민요 ‘새야새야 파랑새야’ 깃발을 매단 채 모두 20곳에 이르는 유적지를 탐방했다.
염 의원은 “오늘날 대한민국은 나라 안팎으로 19세기 말처럼 위태롭다. 혼란의 시기에 보국안민 기치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했던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되새겨 21세기 동학군이 되고자 유적지를 순례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 9월 임시회가 열리면 도내 모든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게 그 수당을 지급할 수 있도록 ‘전북특별자치도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 지원조례’를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도내에 사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은 약 900명, 이 가운데 정읍시만 정읍에 거주중인 유족에게 매월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윤준병(정읍·고창) 국회의원 또한 항일 독립운동 시점을 지금(을미의병·1895년)보다 1년 빠른 제2차 동학농민혁명(1894년)과 갑오의병(1894년) 때까지 앞당긴 ‘항일 독립운동 기점 정립법’을 지난달 29일 대표 발의해 주목받았다.
오는 13일 그에 관한 국회 토론회도 예정됐다. 일제의 국권침탈 시점은 명성황후를 시해한 을미사변(1895년)보다 한해 빠른 조선왕조 왕궁(경복궁) 기습 점령과 고종 감금사건이 벌어진 1894년이고, 이를 문제삼아 봉기한 제2차 동학농민혁명과 갑오의병은 그 첫 국권수호운동으로 봐야한다는 주장이다.
만약 이런 내용의 법안이 원안대로 통과한다면 동학농민혁명과 갑오의병 참여자도 독립유공자로 인정돼 서훈이 추서될 것으로 보인다. 이경우 그 유족 또한 수당이 지급된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8-09 2면
http://sjbnews.com/824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