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첨단과학기술단지 설립지 어디로
중장기 산업단지 개발계획 수립용역 착수
과학기술단지 후보지 검토 작업도 본격화
전북첨단과학기술단지를 포함해 앞으로 10년간(2026~35년) 도내 일원에 건설할 산업단지 개발계획을 검토하는 작업이 본격화 돼 주목된다.
전북자치도는 13일 이 같은 내용의 연구용역 2건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우선, 2035년까지 산업용지 수요를 고려한 중장기 산단 개발계획이 수립된다.
권역별, 산업별 발전전략과 연계해 각 시·군별로 얼마만큼의 산업용지를 조성해 공급할 것인지 검토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시·군별 장단점과 경쟁력을 분석해 그 발전전략과 함께 연차별 산업단지 조성계획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를 뒷받침할 교통 인프라 구축계획도 함께 검토된다.
그만큼 지역개발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번 용역은 내년 5월 말 그 결과가 도출될 예정이다.
이와 맞물려 전북첨단과학기술단지 기본구상 수립용 연구용역도 시작됐다.
첨단과학기술단지는 바이오나 모빌리티 등 첨단산업을 집적화할 국가산업단지를 일컫는다. 올 12월 전북특별법 개정안이 시행되면 전북자치도는 그 지정을 국토교통부에 직접 건의할 수 있다.
이번 용역은 국내외 상황을 종합 고려해 첨단산업 중 어떤 업종을 도내에 집적화하는 게 좋을지, 특히 그 설립지로 적합한 곳은 어디인지 등을 집중 검토하도록 한 과업이 주어졌다.
그 용역 결과는 내년 1월 말 나올 예정이다. 일부 지자체는 이미 특정 후보지를 앞세워 물밑 기싸움을 벌이는 등 그 유치전에 뛰어들 태세다.
첨단과학기술단지가 제대로 개발된다면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 연관산업 동반성장과 지방세수 증대 등 지역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막대할 것이란 기대다.
천세창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이차전기 기업의 입주 러시로 산업용지가 부족해진 새만금 산업단지 사례를 봤을 때 산업변화 흐름에 뒤처지지 않게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안정적인 산업용지 공급방안을 확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첨단기업이 전북에 둥지 틀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5-14 2면
http://sjbnews.com/815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