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지자체도 산재 예방대책 챙겨라"
줄잇는 노동자 사망사고에 대책 주문
전국 사망자 11% 전북 사업장서 숨져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가 지난 26일 전주시 덕진동 도립 국악원 증개축 공사 현장을 찾아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정성학 기자
/사진= 전북자치도
■ 세계 산업안전보건의 날
‘세계 산업안전보건의 날(4.28)’을 맞아 김관영 도지사 또한 도내 산업현장 곳곳에서 노동자 사망사고가 줄잇는 것에 대해 지자체도 그 산재예방을 돕도록 주문하고 나섰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지난 26일 전주시 덕진동 도립 국악원 증개축 공사 현장을 찾아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다.
공사현황을 보고받고 그 현장을 돌아본 김 지사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사전에 조치하고 예방해 산업재해 없는, 그 무엇보다 안전이 우선되는 작업환경 조성에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또, “현장 근로자들의 교육과 보호장구 착용 등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 시키고 안전조치에 미흡함이 없도록 철저히 관리해달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전날(25일) 간부회의 석상에서도 중대재해사고가 속출하고 있는 것에 안타까움을 표한 채 그 예방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특히, 지자체 차원에서 50인 미만 중소기업을 지원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지사는 “현재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이 이들 기업의 중대재해 예방활동을 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다”며 “도와 시·군도 함께 나서서 우리 지역 기업의 산업재해 예방 조치와 대책 수립을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올들어 도내 사업장에선 모두 11명이 산업재해로 사망했다. 이는 동기간 전국 사망자(151명)의 7%에 달하는 수준이다.
더욱이 4월에만도 모두 7명이 숨졌다. 지난 16일 세아베스틸 군산공장에서 노동자 A씨가 배관에 깔려 숨졌고, 다음날인 17일 익산시청 신청사 공사현장에선 크레인 해체작업을 하던 노동자 B씨가 추락사 했고, 23일은 고창 무장읍성에서 보수작업을 하던 또다른 노동자 C씨가 끼임 사고로 숨지는 등 사망자가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이 가운데 군산 세아베스틸은 지난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 이번이 4번째 사망 사고이자 5번째 희생자로 현재 고용노동부는 관련법 위반시 엄중 조치하겠다는 공개 경고와 함께 수사가 한창이다.
노동단체들은 중대재해처벌법이 유명무실한 꼴이라며 사업주 구속수사 등 특단의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강성희(진보당·전주을) 국회의원도 이를 문제삼아 지난 24일 전북자치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북의 4월은 ‘죽음의 봄’이 되가고 있다”며 “고용노동부는 물론 전북자치도 또한 노동자의 안전을 담보할 보다 강력한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4-29 2면
http://sjbnews.com/814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