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적 모험의 역사를 기념하는 600호 ‘시의 말’
'시는 나를 끌고 당신에게로 간다(엮는이 문학과지성사 편집부, 펴낸 곳 문학과지성사)'는 반세기 가까이 언어적 모험을 이어오며 한국 현대 시의 고유명사로 자리매김한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지닌 고유한 특징은 시집을 마무리하는 지점에서 다시 등장하는 또 하나의 ‘새로운 글’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600호 시인선을 기념하여 지난 500번대 시집의 뒤표지에 담긴 글들을 묶으면서 시나 산문이라는 익숙한 이분법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이 독특한 위치의 글쓰기를 우리는 이제 새로운 이름으로 정의한다. ‘시의 말’은 미지로 나아가는 말의 운명을 시험하며 씌어진 글입니다. 이 뜻깊은 작업을 통해 시적 언어의 탄생과 연관된 중요한 통찰로 이어지는 귀한 시간을 독자와 함께 나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통권 600호를 출간한다. 1978년 황동규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를 첫번째 시집으
여러 출판사에서 현재 출간되고 있는 시집 시리즈는 ‘시인의 말’ ‘시’ ‘해설’ 혹은 ‘시인의 산문’을 싣는 식으로 비슷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 가운데 다른 시집 시리즈와 구별되는 문학과지성 시인선만의 고유한 특징은 다름 아닌 뒤표지에 시인이 쓰는 또 하나의 글이다. 이 ‘새로운 글’에는 정해진 형식도 없고, 관련하여 시인에게 전하는 별도의 요청 사항도 없으며, 전적으로 시인의 자율에 맡긴다. 하여 단 한 문장이 들어가기도, 뒤표지를 빼곡하게 채우기도, 텍스트로 읽히지 않는 어떤 이미지를 보여주기도 하면서 산문이면서 시이기도 한, 시인 듯하지만 시가 아닌, 시나 산문이라는 익숙한 이분법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독특한 위치의 글쓰기가 탄생했다.
또 한 번의 새로운 백 번대의 문을 열며, 501부터 599까지 지난 99권 시집의 뒤표지 글을 한데 모은 이번 기획은 바로 이러한 문학과지성 시인선의 고유성을 다시금 확인함과 동시에 지난 한 시기를 문학과지성 시인선과 함께한 시집을 시가 아닌 또 다른 위치에서 바라보는 특별한 기회가 될 터이다. “시의 말은 시도 모르게, 시인은 더욱 모르게 나타나는 것이다”/이종근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4-12 14면
http://sjbnews.com/812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