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03월 10일 15시11분

친일잔재 청산 안하나 못하나…'청산율 55%'

전체 133건 중 73건 청산작업 완료
강제할 법규정 없고 후손 반발도 커
도의회, 청산촉진 조례 공론화 주목


IMG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407회 임시회



전북자치도의원들이 뿌리깊은 생활 속 일제잔재 청산을 보다 강력히 추진하도록 한 지방조례를 제정하겠다고 나서 주목된다.

호남권 지자체와 학교에 일제히 배포하려다 식민사관 논란에 급제동 걸린 전라도 천년사, 전통문화도시인 전주 한옥마을 한복판, 더욱이 옛 도지사 관사에 심어진 일왕의 상징물인 금송을 둘러싼 논란 등이 꼬리 물고 있는데 따른 대안으로, 도내 곳곳에 산재한 일제잔재를 보다 체계적으로 조사해 정리하자는 안이다.

10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전북특별자치도 일제잔재 발굴 및 청산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안이 의원 발의됐다.

조례안은 1945년 광복 이후 도내에 남겨진 유·무형 일제잔재를 찾아내 없애는 청산작업을 도지사가 직접 챙기도록 했다. 구체적으론 그 연구조사나 전문인력 양성사업, 도민 홍보나 교육사업 등을 지원하도록 했다.

아울러 도내 전수조사를 거쳐 연차별, 과제별 청산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도록 했다. 또, 이를 총괄하고 심의할 가칭 ‘일제잔재청산지원위원회’도 설치하도록 했다.

한마디로 ‘제2 독립운동’을 펼치자는 안이다. 조례안은 상임위 심의 등을 거쳐 오는 14일 본회의에 상정돼 가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대표 발의자인 이병도(문화건설안전위원장·전주1), 공동 발의자인 이병철(환경복지위원장·전주7) 의원 등은 제안 사유서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배가 종식된지 약 80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유·무형의 일제잔재가 곳곳에 남겨진 실정이다. 이를 찾아내 청산한다면 민족정기를 회복하고 사회정의를 구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원안통과를 바랐다.

앞서 두 의원은 친일, 또는 역사왜곡 논란이 불거질 때마다 역사 바로 세우기를 도와 교육청에 공개 촉구해 주목받아왔다.

지난해 10월 임시회에선 중앙정부의 이른바 ‘홍범도 장군 지우기’ 논란을 문제삼아 전북출신 구국의 영웅 황진 장군, 나라를 위해 목숨을 초개처럼 버린 수많은 이름없는 의병들, 반외세를 부르짓던 동학농민혁명 등을 줄줄이 소환한 채 개탄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일제잔재 청산과 동학농민혁명 선양사업 확대 등 역사 바로 세우기를 보다 강화할 것을 도지사와 교육감에 공개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전북자치도가 2020년 도내 전수조사를 벌여 찾아낸 일제잔재 중 친일행위자와 관련된 친일잔재만도 모두 133건에 달했다.

현재 이 가운데 73건(55%)은 철거나 폐기처분, 또는 단죄비 설치나 교육자료 활용 등 청산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파악됐다. 뒤늦게 친일작가 작품으로 지목돼 말썽난 남원 광한루 성춘향 영정과 정읍 황토현 전봉준 장군 동상은 철거, 전주 덕진공원 김해강시비와 진안 윤치호 시혜불망비는 단죄비 설치, 익산 오화시농장 사무실은 항일독립운동기념관으로 재활용 한 사례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여전히 친일잔재 절반 가량은 청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간부문의 경우 청산을 강제할 법규정이 없는데다 후손들의 반발과 사유재산권 침해 논란 등에 손대기 힘들다는 토로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3-11     1면

http://sjbnews.com/809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