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상생사업 실행 박차
도-시군, 추진상황 중간 점검
시군통합 밑거름 될지도 주목
28일 전북특별자치도청에서 열린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추진상황 점검회의.
/사진= 전북자치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실행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나서 눈길이다.
도는 28일 양측 시·군 관계 공무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황철호 자치행정국장 주재로 그 대책회의를 열어 사업별 추진상황을 중간 점검했다.
상생사업은 민선8기 출범 직후인 재작년 11월 제1차 협약을 필두로 최근 제10차 협약까지 이어지면서 모두 24건이 제시됐다. 사업안은 사실상 한 생활권인 양측 주민들의 생활편의를 도모하고 동반성장도 이뤄낼 수 있는 안들로 채워졌다.
대표적으론 △양측 공공급식분야 농산물 상호 확대 공급 △시티투어버스 공동운영, 지역사랑상품권 상호 유통 △접경지역 자전거도로 우선 개설 △양측 청년창업 프로그램 참여기회 확대 △주요 공공시설 이용료 상호할인 △완주 3곳(구이, 고산, 용진)에 양측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파크골프장 조성 △서울에 있는 전주풍남학사 완주 학생들 입사 허용 등이 꼽힌다.
현재 이들 사업안은 큰 문제없이 순항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황철호 도 자치행정국장은 “상호 신뢰와 소통을 바탕으로 협약된 사업들을 내실있게 관리하고자 그 추진상황을 점검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양 지역 주민들의 편익과 지역의 공동발전을 위해 사업안 모두 당초 취지와 목적대로 정상 이행될 수 있도록 수시 점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관영 도지사는 지선 공약 중 하나로 전주·완주 통합을 제시해 주목받아왔다.
빠르면 2026년 7월중 통합시 출범을 목표로, 재임기간 그 비전을 수립하고 상생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핵심인 통합의사 확인 절차, 즉 양측 시군의회 동의안 처리, 또는 주민투표 절차는 올 하반기로 예고한 상태다.
전주권은 1995년 지방자치 부활이후 도내에 남겨진 마지막 비통합지로, 앞서 30년 가까운 찬반논란 속에 세차례 통합이 시도됐지만 모두 실패했다.
실제로 1997년과 2009년 잇달아 시군의회 의결 방식으로 통합이 시도됐지만 2차례 모두 완주군의회 반대로 무산됐다. 2013년의 경우 주민투표 방식으로 통합이 재차 시도됐지만 이또한 완주지역 반대표(55.4%)가 과반을 넘기면서 물거품 됐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2-29 2면
http://sjbnews.com/808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