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연골파열, 연골 찢어졌다면 치료는 어떻게?
무릎통증이라는 말을 들으면 대부분 노년층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여기지만, 30~40대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서도 만성적인 무릎통증이 시달리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편이다. 무릎통증은 무릎 연골인 반월상연골판의 손상은 연관이 깊다.
무릎 관절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하나씩 자리하고 있는 반월상연골판은 무릎에 오는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등의 중요한 기능을 한다. 무릎을 꿇거나 쪼그리고 앉는 것은 무릎 속의 압력을 증가시켜 반월상연골판에 점차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니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무릎에 발생하는 외상이나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해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에 파열이 생기면 무릎에 통증 및 부종이 나타나고, 무릎에 물이 차거나 다리가 제대로 펴지지 않는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또한 계단이나 내리막길 내려가는 것이 점점 불편해지므로 이와 같은 증상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
반월상연골판에 파열이 발생하였다고 하여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조직의 파열이 경미한 편에 속한다면 약물 및 주사요법, 물리치료 등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니 가급적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좋다.
조직의 파열이 심한 편이라면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반월상연골판의 수술은 손상되어 찢어진 부위를 봉합하는 봉합술과 연골의 너덜거리는 부분을 잘라내어 정리하는 절제술로 진행된다. 간혹 질환이 오래 방치되어 온전하게 남아 있는 연골이 거의 없다면 연골을 이식하는 이식술도 고려할 수 있다.
조직을 잘라내는 절제술은 문제가 되는 최소한의 부위만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골의 과도한 절제는 관절염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봉합이 안되는 상황에서 무리하여 봉합술을 진행하다가는 조직의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므로 이 역시 조심해야 한다.
반월상연골판 파열 수술 시에는 조직의 파열 양상 및 손상 위치 등의 모든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수술 방식을 적용해야 하므로 사전에 꼼꼼한 검사가 필수적이다.
도움말 :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2-09 17면
http://sjbnews.com/806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