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가면 전체를 상태조사를 분석한 자료집
국립민속박물관이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한국 가면 487점을 상태조사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유물보존총서Ⅸ'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가면을 펴냈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한국 가면을 제작의 기본 재료가 되는 나무, 바가지, 종이 및 금속 복합재질로 구분하고, 각 재질별 가면의 보존 상태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110점을 선정하여 세부 상태조사 기록, 안료 분석자료와 적외선‧자외선‧X선 영상을 함께 수록하였다. 재질, 제작 방법, 손상 및 수리 유무, 촬영 영상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110점의 본문 뒤에는 일람 형식으로 377점의 가면들을 싣고 있어,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의 한국 가면 전체를 한 권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번 유물보존총서는 2018년 나무로 제작된 가면의 응급 보존 처리 중 처리 대상 소장품과 다른 자료들의 보존 상태를 비교‧확인하기 위한 기초 자료 분석 과정으로부터 시작되어 이를 확장하여 기획한 것이다. 그 결과, 일부 가면의 제작 초기 모습을 찾기도 했고, 육안으로 파악할 수 없어 가면에 사용되었다고 상상하기 어려운 솔방울, 동물 꼬리뼈 등이 가면 제작 재료로 확인되기도 했다.
유물보존총서Ⅸ'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가면'에 수록된 가면 중 보존처리된 가면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전시, ‘가면 톺아보기’가 적외선‧자외선‧X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촬영된 다른 가면들과 함께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의 ‘열린 보존과학실’에서 전시중이다. 올 11월까지(기간 중 3회 소장품 변경) 계속된다./이종근기자
지면 : 2024-01-19 14면
http://sjbnews.com/804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