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사 작성:  정성학
- 2024년 01월 04일 16시04분

늙어가는 전북, 성장 잠재력도 '빨간불'

-청-중년층 탈전북에 도민 4분의 1 고령인
-부양비 급증, 구인난 심화 등 사회문제화



IMG
-초고령사회 맞춤형 산업구조 개편 불가피

저출생과 청년층 출향행렬 등의 여파로 소멸위기에 처한 전북은 급속한 고령화로 성장 잠재력도 상실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4일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지역고용학회가 발간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겨울호에 따르면 최근 7년간(2015~22년) 전북지역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은 전체 인구대비 17.7%에서 22.6%로 무려 4.9%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덩달아 고령사회(14% 이상)였던 전북은 초고령사회(20% 이상)에 진입했다. 이 같은 고령화율은 전국 평균(17.7%)보다 4.9%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가파른 고령화 현상은 노년층 부양부담도 갈수록 증폭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동기간 도내 생산가능인구(15~64세) 대비 고령자 비율, 즉 노년부양비는 25.7명에서 34.0명으로 8.3명 늘었다. 쉽게 말하자면 7년 전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어르신 25.7명을 부양했다면 지금은 34명을 챙겨야 한다는 의미다.

그만큼 청·중년층의 부양부담이 커진 셈이다. 전국 평균(24.9명)과 비교하면 도내 청·중년층의 노년층 부양부담은 9.1명 가량 더 많았다.

이는 계층간 갈등 심화와 지자체 재정부담 가중, 지방기업 구인난과 성장잠재력 악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유발하면서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급격한 고령화의 주된 원인은 괜찮은 일자리나 주거지 등을 찾아 대도시로 떠나는 청·중년층의 이촌향도 현상이 지목됐다. 기대수명 연장과 같은 자연적인 인구구조 변화라기보다는 아이낳고 일할 수 있는 청·중년층의 출향행렬이 이어지다보니 지방은 고령인 비중만 갈수록 높아지는 구조가 됐다는 진단이다.

이런 현상은 농산어촌에서 한층 더 도드라졌다. 전국 시·군·구 250곳을 조사한 결과로, 고령화율 최상위 20곳 중 임실군(38.1%·17위)과 진안군(37.5%·20위) 등 전북지역 두곳도 포함됐다.

자연스레 지방의 경우 인구유출 억제책과 더불어 초고령사회 맞춤형 산업구조 개편작업도 시급하다고 지적됐다.

권우현 편집위원장은 “인구 고령화는 기후위기,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 사회의 핵심 화두이다. 유례없는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는 비수도권과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일수록 고령화 정도가 심하고 진행 또한 빠르다”며 “고령화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지역의 생존 문제라 지역 특성에 적합한 정책 대안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구체적으론 고령층이나 전기 노년층을 겨냥한 일자리 다양성 확보, 금융과 경영 등 전문인력 지방기업 취업과 정착 유도,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농특산품 중심의 시장형사업단이나 고령친화기업 육성, 농촌의 원활한 노인일자리사업 수행에 필요한 인적 물적 인프라 확대 등을 제시했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1-05     1면

http://sjbnews.com/803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