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북 지자체와 기관, 청렴도 높여야
1등급은 한 곳도 없어
전북 지자체 청렴도 저조
도내 지자체와 기관 중 1등급은 한 곳도 없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들오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지난해부터 실시한 '2023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와 기관유형별 등급을 발표했다.
올해 종합청렴도 평가는 △공공기관과 업무 경험이 있는 민원인 15만7천명과 내부 공직자 6만7천명 등 약 22만4천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인 '청렴체감도' △각급 기관이 1년간 추진한 부패방지 노력을 평가하는 '청렴노력도' △부패사건 발생 현황인 '부패실태 평가'를 합산해 결과를 도출했다. 총 489개 기관의 종합청렴도 점수는 80.5점으로 지난해 대비 0.7점 떨어졌다.
종합청렴도는 가장 높은 1등급부터 5등급까지로 나눈다.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전북도는 지난해와 같은 3등급을 받았다. 전북교육청과 새만금개발청은 각각 4등급에 머물렀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선 김제, 전주, 정읍, 부안이 2등급을 받았다. 김제시가 국민권익위원회 주관으로 이뤄진 ‘2023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2등급으로 올라섰다. 이는 종합청렴도 4등급에서 2개 등급을 끌어올린 성과로 지난해‘꿈과 희망을 공정하게 지키는 청렴 김제 실현’을 충실히 실천한 결과로 현장의 소통 강화와 건전한 직장문화를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다양한 청렴시책 활동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전주시도 2단계 상승한 종합청렴도 2등급을 달성했다. 시는 그동안 조직 전반의 청렴 수준을 높이기 위해 ▲고위직 청렴메시지 릴레이 캠페인 ▲맞춤형 청렴 교육 강화 ▲고위직 청렴 다짐의 날 ▲청렴 마일리지 제도 ▲강도 높은 복무 감찰 등을 추진하는 등 종합청렴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반부패·청렴 시책을 시행했다.
이어 익산, 고창, 무주, 완주, 임실, 장수, 진안이 3등급을 기록했다. 군산은 4등급으로 평가됐다. 남원과 순창은 가장 낮은 5등급을 받았다. 남원과 순창은 지난해보다 각각 1등급, 2등급씩 등급이 내려갔다. 도내 공직유관단체 중에선 국민연금공단과 한국국토정보공사가 2등급을 기록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3등급을 받았다. 기초자치단체는 전년 대비 점수가 상승했지만 여전히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앞으로도 청렴이 당연한 조직문화를 조성해 대내외적으로 신뢰 받는 공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신뢰받는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공직자들의 의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그런 의미에서 높은 등급 달성은 매우 의미 있고 자랑스러운 일이다.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4-01-02 10면
http://sjbnews.com/80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