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에 뛰어든 군산시장 예비후보자 절반 가량은 새만금 해수 유통을 지지했다. 또, 시민 위에 군림하는 공직사회 ‘갑질행정’을 견제할 전문 감시기관 설립도 동의했다.
군산시민정책연대(상임대표 황진 한국YMCA 전국연맹 이사장)는 최근 군산시장 예비후보자 11명을 상대로 주요 지방정책을 놓고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이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질의서는 각계 전문가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등 모두 996명으로 구성된 시민정책연대가 자체 발굴한 14개 영역 128개 항목으로 꾸며졌다.
우선 환경분야를 놓고선 찬반의견이 분분했다.
이 가운데 새만금 해수 유통 여부를 놓고선 전체 예비후보 64%(7명)가량이 즉각 실행, 또는 전문가와 협의한 후 적극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연안 생태계 복원과 수산업 발전에 대한 불씨를 살려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들이다. 반대로 답변을 보류하거나 거부한다는 36%(4명)에 그쳤다.
새만금과 비슷한 문제를 겪어온 금강하구둑 갑문 개방 여부를 놓고선 신중론이 우세했다.
실제로 즉각 실행, 또는 전문가와 협의한 후 적극 반영하겠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예비후보는 전체 46%(5명)였다. 반대로 답변을 보류하거나 거부한 부정적인 반응은 54%(6명)를 차지했다.
산업위기지역 지정과 관련된 민생과 주거분야를 놓고선 대체로 의견이 일치했다.
가칭 금융복지상담센터와 주거복지상담센터를 설립할 의향이 있는지를 놓고선 예비후보 모두 즉각 실행하겠다며 100% 동의했다. 가칭 고용재난위기지원센터 설립 여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청소년과 교육분야 문제를 놓고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중 지역 내 유휴공간을 청소년 문화활동센터로 활용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해선 모든 예비후보가 동의했다. 또, 시장을 중심으로 한 가칭 종합안전협의체 구성을 놓고선 단 1명을 제외하곤 모두 동의했다.
도시 관광 디자인 분야에선 예비후보자별 입장이 크게 엇갈렸다.
전북과 충남권간 찬반 이견이 팽팽한 군산 금란도(군산항 준설토 투기장)를 친환경 반려동물 테마파크로 조성하자는 제안을 놓고선 전체 46%(5명)가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반대로 또다른 예비후보 46%(5명)는 부정적인 견해를 내놨고 1명은 답변을 거부했다.
일제 강점기에 집중된 역사관광 문화자산을 좀 더 다양한 시대로 확대하는 것에 대해선 보류 입장을 내놓은 단 1명을 제외한 10명이 동조했다. 구도심에 산재한 폐철도를 활용해 전기 셔틀기차를 운행하자는 제안을 놓고서도 2명만 보류했다.
행정법무 분야에선 이른바 갑질행정 감시기관을 설립하자는 제안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시민 위에 군림하는 공직사회를 견제할 전문기관을 세우자는 게 핵심이다. 예비후보자들은 이를놓고 전체 55%(6명)는 즉시 실행하겠다며 동의한 반면 36%(4명)는 보류, 나머지 1명은 답변을 거부했다.
이밖에 다양한 조사항목에서 예비후보자들의 ‘색깔’을 살펴볼 수 있는 답변이 나왔다.
정책연대측은 “6.13 지방선거를 맞아 시민들과 지역사회 문제가 뭔지, 그 대안은 뭔지를 함께 고민하고 공유하자는 취지로 준비한 설문조사”라며 “그 결과는 예비후보자들의 비전을 판단하는데 도움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책연대는 지난해 8월부터 시민의견 수렴과 전문가 토론회 등을 거쳐 설문조사 내용을 선정해왔다.
/정성학 기자 csh@sjbnews.com